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통합교육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disabled adults' acceptance of disability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이미숙(Mi Suk Lee) 채수은(Soo Eun Chae)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30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기 장애인의 자기개념 형성에 있어 학령기 통합교육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장애수용이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통합교육의 매개 역할, 그리고 특수교육 유형에 따른 구조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2023년에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PSED) 제8차 자료 중 956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5.0과 SmartPLS 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ANOVA), 구조방정식모형, 다집단 분석, 3단계 매개효과 분석 및 Sobel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특수교육 유형(일반학급, 특수학급, 특수학교)에 따라 성인기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학급(완전통합) 출신이 가장 높은 장애수용 수준을 보였다. 둘째, 장애수용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에 대한 영향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완전통합교육 경험은 장애수용과 자기효능감 간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교육이 구조적 관계 자체보다는 심리적 경로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시사하며, 완전통합 중심의 특수교육 정책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role of inclusive education during school years in shaping self-concept in adulthood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he mediating role of inclusive education, and potential structural differences based on types of special education. Data were drawn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23, comprising a sample of 956 individuals.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SmartPLS 4.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ulti-group analysis, three-step mediat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levels of disability acceptance significantly differed by type of special education, with individuals who had experienced regular class placement (full inclusion) demonstrating higher acceptance than those from special schools. Second, disability accept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ith a stronger effect observed for self-efficacy. Third, full inclusion exper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fficacy, but no mediating effect was found for self-estee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clusive education contributes more meaningfully to the psychological pathways of self-concept development than to structural differences, offering empirical support for the effectiveness of full inclusion-focused special education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숙(Mi Suk Lee),채수은(Soo Eun Chae). (2025).성인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통합교육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30 (1), 1-21

MLA

이미숙(Mi Suk Lee),채수은(Soo Eun Chae). "성인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통합교육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30.1(2025):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