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성된 감정 이론(F. Barrett)의 교육적 의미 성찰
이용수 0
- 영문명
- Reflection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Theory of Constructed Emotion(F. Barrett)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Eun Ch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30권 제1호, 23~4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는 뇌가 사고를 위해 진화했다고 여겨왔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뇌는 생존을 위해 진화된 예측 도구다. 뇌는 이 과정에서 신체에 대한 표상을 구성하고, 자아라는 관념을 포함하여 각종 다양한 관념들을 만들어낸다. 구성된 감정 이론은 이러한 학문적 맥락에서 우리의 지각, 사고뿐만 아니라 감정도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오랫동안 감정은 선천적이고 따라서 누구에게나 보편적인 방식으로 표현된다고 생각해 왔지만 Barrett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감정에 대한 고전적 견해는 틀렸으며 다양성이 표준이다. 그녀의 이 새로운 감정 이론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다윈의 개체군 사고인데, 다양한 개체들이 개체군을 구성하듯이 감정 또한 다양한 감정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지는 사회적 실재는 계속해서 변화한다. 구성된 감정 이론은 또한 우리 각자가 이 다양한 감정 세계를 만드는 능동적 참여자라는 사실을 강조하는데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신체 예산(생존을 위한 에너지)과 언어(개념)다. 우리는 개념을 사용해 사회적 실재를 구축하며 이 사회적 실재를 통해 뇌가 다시 배선된다. 감정은 이러한 사회적 실재의 매우 실제적인 창조물인데, 이것이 가능한 까닭은 인간의 뇌가 다른 인간의 뇌와 협조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런 입장에서 구성된 감정 이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 자리이타의 교육문화를 제안하였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자리이타 교육문화 구현이 그저 이상적으로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구성된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면 우리는 새로운 감정 개념을 통해 새로운 감정 사례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렇게 재구성되고 창조되는 또 다른 사회적 실재의 가능성은 무한하다. 다시 말해, 자리이타 교육문화는 가능하다. 자리이타라는 개념을 갖고 더 넓게 서로 공유하는 것이 필요할 따름이다. 또한 신체 예산 차원에서 생각해보면, 자리이타 행위가 나의(또 상대방의) 신체 예산 운영상 가장 에너지 효율이 높다. 왜냐하면 이것이 내가(또 상대방이) 타인의 도움을 가장 잘 받는 방법일 것이고 따라서 나의(또 상대방의) 신체 예산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교는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 입자도를 향상시키고 이와 함께 보다 풍부한 감정 개념을 배우고 더 다양한 감정 사례를 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이 연구에서 제안한 자리이타 교육문화는 이러한 실천의 방향성 제시에 해당된다.
영문 초록
We have long believed that the brain evolved for thinking, but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 brain is actually an adaptive predictive tool evolved for survival. In this process, the brain constructs representations of the body and generates various concepts, including the notion of the self. The Theory of Constructed Emotion argues, within this academic framework, that not only our perception and thinking but also our emotions are constructed. For a long time, emotions were considered innate and universally expressed in a fixed manner. However, according to Barrett's research, this classical view of emotion is incorrect—diversity is the norm. A decisive influence on her new theory of emotion was Darwin’s population thinking: just as a population is composed of diverse individual organisms, emotions are constituted by diverse instances of emotional experiences. The social reality thus formed is constantly evolving. The Theory of Constructed Emotion also emphasizes that each of us is an active participant in creating this diverse emotional world. The two key elements in this process are body budget(the energy required for survival) and language(concepts). We use concepts to construct social reality, and through this social reality, the brain itself is rewired. Emotions are a highly real creation of social reality, made possible because the human brain operates in coordination with other human brains.
This study, from this perspective, proposes an educational culture of self-benefit and altruism as an implication of the Theory of Constructed Emotion for education. In the current context, implementing a self-other beneficial educational culture might seem idealistic.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the Theory of Constructed Emotion, we can create new instances of emotion through new emotional concepts, and the possibilities for reconstructing and generating new social realities are infinite. In other words, a self-benefit and altruism education culture is possible. What is needed is to cultivate and share the concept of self-benefit and altruism more widely. From the perspective of body budget, engaging in altruistic actions is the most energy-efficient for me(and others). This is because it would be the best way for me(and others) to receive help from others, there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body budget management for oneself(and others). Therefore, schools should strive to help students enhance their granularity of emotional experience, learn richer emotional concepts, and construct more diverse emotional instances. The self-benefit and altruism education culture proposed in this study serves as a guiding direction for such educational practic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다양성이 표준이다”(Barrett)
Ⅲ. 구성되는 사회적 실재: 신체 예산과 언어
Ⅳ. 구성된 감정 이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자리이타(自利利他) 교육문화를 향하여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성된 감정 이론(F. Barrett)의 교육적 의미 성찰
- 사회자본의 경계: 징벌적 제재로서의 따돌림 행동과 도덕적 정당화로서의 폭력적 행동
- 마을교육공동체의 연결 구조와 행위자 분석: 해밀교육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