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발병 이전(2019년), 코로나19 팬데믹(2021년), 그리고 엔데믹(2023년) 동안 음식배달 선택요인 조사: 장바구니 분석을 적용하여
이용수 4
- 영문명
- Investigating the factors for choosing delivery food before COVID-19 outbreak (2019), during COVID-19 pandemic (2021), and endemic (2023) by applying, market basket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윤선미(Sun-Mi Yun) 박득희(Deuk-Hee Park)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20권 2호, 49~6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식배달을 이용할 때 고려하는 선택요인을 코로나19 발병 이전(2019년), 팬데믹(2021년), 그리고 엔데믹(2023년) 동안 선택요인 간 연관성 규칙에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고 비교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간한 식품소비 행태조사 보고서를 활용하여 장바구니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험적 알고리즘(apriori algorithm)을 바탕으로 신뢰도(confidence), 지지도(support) 지표를 활용하여 유용한 연관성 규칙이 나타났다. 분석결과, 코로나19 발병 이전은 11개의 연관성 규칙, 팬데믹은 11개의 연관성 규칙, 그리고 엔데믹은 13개의 연관성 규칙이 확인되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배달 음식 선택요인이 팬데믹 이전과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발병 이전, 코로나19 팬데믹, 그리고 엔데믹으로 인해 변화된 배달 음식 선택요인을 자료로 제시함으로써 변화된 음식배달 시장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외식기업의 성장을 위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 이탈 방어를 위한 새로운 영업전략과 마케팅을 위한 기초자료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rules and compare the delivery food selection factors before the COVID-19 outbreak (2019), during the COVID-19 pandemic (2021), and the endemic (2023). To this end, a market baske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report publish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pecifically, useful association rules were identified by utilizing confidence and support indices based on the apriori algorith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1 association rules were identified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11 association rules during the pandemic, and 13 association rules were confirmed for endemic. Moreover, differences between the delivery food selection factors were compared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data on factors affecting food delivery choices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endemic. The results obtained in the current research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new sales strategies and marketing to prevent user churn through differentiated services for the growth of restaurant businesses in response to changed food delivery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