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framing Film Literacy: Audience Development and The Shift from Cinephilia to Pedagog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박은지(Eun-Jee Park)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3호, 223~25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23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화 리터러시에 관한 논의는 공적 담론과 개인적 향유의 어느 영역에서도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았으며, 그 잠재력 또한 여전히 공론화되지 않은 상태다. 영화 리터러시는 관객 중심의 개념으로,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시장 논리가 아닌 교육 논리에 기반한다는 이유로 주변적 의제로 간주된다. 본 연구는 기존 영화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 포스트 시네마 시대의 시각장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새로운 관점에서 영화 리터러시에 관한 논의를 촉진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표는 두 가지이다. 첫째, 영화 리터러시는 단순한 문해력 중심 개념에서 벗어나, ‘영화와 지속적으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으로 재정의 될 필요가 있다. 둘째, 영화 리터러시는 관객 개발을 매개하는 도구적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여기서 관객 개발은 ‘개인이 영화와 관계를 형성하도록 장려하는 계획된 과정’으로 규정된다. 이는 영국 BFI를 중심으로 프랑스 시네마테크 프랑세즈 등의 영화 교육 사례와 영화 리터러시 관점을 참조하여 논의를 구체화하고 확장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영화 리터러시와 관객 개발의 개념을 정리한 후, 한국의 영화 리터러시 현황을 분석한다. 비제도권 영화운동에서 관객 영화교육의 시각장으로 이어지는 흐름과 그 실태를 점검하고, 이러한 맥락에서 관객 개발의 주요 쟁점들을 식별한다. 특히, 영화적 접근성 향상, 지역·세대·계층 간 불평등 완화, 그리고 시네필리아에서 관객 페다고지로의 전환 필요성을 주장한다. 동시에 본 연구는 학교 영화교육이 아닌 관객 영화교육에 초점을 맞추며, 문화 민주화와 예술을 통한 사회적 포용이라는 거버넌스적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영화 리터러시가 관객 개발 담론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Film literacy has been insufficiently discussed in both public discourse and personal engagement, with its full potential largely unexplored in Korea. As an audience-centered concept, film literacy is often marginalized due to its reliance on education rather than market-driven logic. Moreover, existing definitions and applications of film literacy have not adequately accounted for the visual landscape of the post-cinema era, underscoring the need for a fresh perspective. This study has two primary objectives. First, it seeks to redefine film literacy as the “ability to continuously engage with cinema,” moving beyond the traditional, literacy-focused concept. Second, it proposes reconceptualizing film literacy as instrumental in facilitating audience development, defined as “a planned process that encourages individuals to form a sustained relationship with cinema.” Drawing on insights from film education and literacy practices at institutions such as the British Film Institute (BFI) and La Cinémathèque Française, this study will first examine the concepts of film literacy and audience development. It will then explore the current state of film literacy in Korea, tracing its roots in civic film movements and reviewing various initiatives in audience film education. Key issues in audience development will be identified,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improving access to a broader range of cinema, addressing regional, generational, and class inequalities, and advocating for a shift from cinephilia to audience pedagogy.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audience film education from a governance perspective that emphasizes cultural democratization and social inclusion, rather than school-based education. Ultimately,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film literacy as a central element in the broader discourse on audience development
                    목차
1. 들어가며
	                       
	                          2. 영화 리터러시와 관객 개발
	                       
	                          3. 한국의 영화 리터러시 현황
	                       
	                          4. 관객 개발의 쟁점: 시네필리아와 페다고지는 어떻게 (못) 만나는가?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리터러시의 재매개를 위한 논의: 시네필리아에서 페다고지로의 전환, ‘관객 개발’
- 한국 초능력 영화의 생명정치: <마녀>를 중심으로
- 한국 재난영화의 장르 관습과 사회정치학 2009∼2016
- 메타버스의 리좀적 공간성과 그 의미: <레디 플레이어 원>(2018)
- OTT 영화의 기획 전략과 서사 구조 변화 연구 : <사냥의 시간>, <승리호>, <연애 빠진 로맨스>와 오리지널 기획 영화 <전, 란> 넷플릭스 배급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장르영화로서의 주선율: 내러티브 체계를 중심으로
- 다큐멘터리영화의 극영화 스타일 연구: <거미의 땅>을 중심으로
- 
                            다큐멘터리에서의 AI 사용이 던지는 문제와 가능성: IDFA 개막작 (2024)를 중심으로 
- 영화 속 장소를 통해 본 1990년대 중국 청년의 표상: <천과월량적여행(穿过月亮的旅行)>(2024)을 중심으로
-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영화 제작단계의 탄소배출에 대한 해외연구 동향 및 고찰
- 하이퍼객체의 시점, 오버뷰 이미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 영화를 중심으로
- 한국형 오컬트 영화의 장르 융합 양상 연구: <곡성>과 <파묘>를 중심으로
-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 나타나는 폭력에 대한 고찰: 르네 지라르의 욕망 이론과 희생양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중국 개혁개방 시기 일본영화의 문화적 수용
- 예술영화를 통해 본 김정은시대 북한 영화의 변화 양상
- <플란다스의 개>(2000)에 나타난 자기반영성과 봉준호의 영화적 자의식:‘구라풀기(Fabulieren)’와 ‘슬랩스틱(slabstick)’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