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후스(胡適)의 외교활동 연구 : 중화민국 주미대사 임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Hu Shih’s Diplomatic Activities: Focusing on His Tenure as the Republic of China’s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발행기관
한양대학교 유럽-아프리카연구소
저자명
김의(Euy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제5권 제1호, 33~5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후스(胡適)는 20세기 중국을 대표하는 철학자이자 중문학자로, 신문화운동을 주도하며 중국에 자유주의와 개인주의를 소개한 인물로 평가된다. 특히, 백화문 운동을 통해 대중 계몽과 사회 개혁에 기여하며 당시 중국 사회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후스는 1938년부터 1942년까지 중화민국 주미대사로 재임하며 일본의 침략에 맞선 외교적 노력을 전개했다. 그는 미국의 중립법 개정, 차관 도입, 미·일 관계 악화를 통한 대일 제재 유도를 주요 목표로 삼고, 미국 정부 및 시민사회를 대상으로 공공외교를 펼쳤다. 후스는 학자로서의 명성을 바탕으로 미국 지도층과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는 한편, 특유의 언변과 설득력을 활용해 중국의 항전 의지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그는 국제정치와 외교 실무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부족했으며, 자유주의적 성향과 관용적인 태도가 외교관으로서 한계로 작용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스는 미국 내 중국에 대한 인식 변화에 기여하며, 항전 시기 미·중 공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될 수 있다.

영문 초록

Hu Shih (胡適) was a prominent Chinese philosopher and scholar of the 20th century, recognized for leading the New Culture Movement and introducing liberalism and individualism to China. Through the Baihua (vernacular) movement, he contributed to mass enlightenment and social reform, playing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society at the time. From 1938 to 1942, Hu Shih served as the Republic of China’s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undertaking diplomatic efforts to counter Japan’s aggression. His key objectives included the revision of the U.S. Neutrality Act, securing financial aid for China, and fostering U.S.-Japan tensions to encourage sanctions against Japan. Leveraging his academic reputation, Hu Shih maintained close communication with American leadership while utilizing his eloquence and persuasive skills to raise awareness of China’s resistance. However, his lack of expertise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diplomatic affairs, along with his liberal and conciliatory disposition, at times limited his effectiveness as a diplomat. Despite these challenges, Hu Shi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American perceptions of China and strengthening Sino-American cooperation during the war.

목차

Ⅰ. 서론
Ⅱ. 후스의 선임배경 및 외교성과
Ⅲ. 비전문가의 한계와 그 반론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의(Euy Kim). (2025).후스(胡適)의 외교활동 연구 : 중화민국 주미대사 임기를 중심으로.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5 (1), 33-51

MLA

김의(Euy Kim). "후스(胡適)의 외교활동 연구 : 중화민국 주미대사 임기를 중심으로."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5.1(2025): 3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