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혼인관계가 이혼으로 해소된 후에 혼인관계의 무효 확인을 구할 수 있는지의 여부 - 대법원 2024. 5. 23. 선고 2020므15896 전원합의체 판결
이용수 0
- 영문명
-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Seek Confirmation of Invalidity of a Marriage after the Marriage is Dissolved by Divorce : Supreme Court 2024. 5. 23. Decision of the full bench 2020Mu15896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신봉근(Bong Geun Shin)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第39卷 1號, 261~2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the Supreme Court’s sentence of May 23, 2024, 2020Mu15896, the issue was whether there was a benefit of confirmation to seek confirmation of invalidity of a marriage relationship that exis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after the marriage was resolved through divorce. In general, legal relations in the past cannot be subject to a lawsuit for confirmation, but it was considered that the benefit of confirmation was exceptionally recognized when it became the premise of a current or potential dispute between interested parties and could be an effective or appropriate means to resolve disputes related to the confirmation of the past legal relationship itself at once. The reasons for the judgment are as follows. ① An invalid marriage and divorce have different legal effects. ② The Domestic Litigation Act provides for a method of filing a lawsuit to confirm the invalidity of a marriage relationship when either of the couples dies and the marriage relationship is resolved. ③ The benefit of confirmation is recognized in a lawsuit for confirmation of invalidity of adoption filed after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resolved due to the disagreement. ④ In order to secure objective evidence to request correction of the family relation register, it is necessary to file a lawsuit to confirm the invalidity of the marriage relationship. ⑤ In terms of protec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the court should actively accept the interests of confirmation as much as possibl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사실관계 및 판결
Ⅲ. 법률관계 및 논점
Ⅳ. 판례의 검토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법연구 第39卷 1號 목차
- 배우자 또는 동거인 자녀의 입양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외국인아동의 출생등록될 권리의 보편적·실효적 보장을 위한 추가 개선 방안
- 복수(複數)의 부 그리고 모
- 양육비청구권: 추상적 권리와 구체적 권리 - 대법원 2024. 7. 18. 자 2018스724 전원합의체 결정을 중심으로
-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에 관한 대법원 판례 및 하급심 판결의 동향
- 프랑스법상 행정청에 의한 입양승인
- 한국 입양법의 변화와 쟁점
- 프랑스법에서의 입양의 요건과 효과
- 혼인관계가 이혼으로 해소된 후에 혼인관계의 무효 확인을 구할 수 있는지의 여부 - 대법원 2024. 5. 23. 선고 2020므15896 전원합의체 판결
- 유류분과 기여분의 관계에 관한 개정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NEW
- 사해행위로 취소된 양도채권의 원상회복에 따른 제3채무자 보호의 문제-기판력의 확장을 포함하여
- 가족법연구 第39卷 1號 목차
- 배우자 또는 동거인 자녀의 입양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