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류분과 기여분의 관계에 관한 개정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A Proposal for the Amend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rved Portion and Contribution Shares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현소혜(So Hye Hyun)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第39卷 1號, 193~230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n April 25, 2024, in Cases 2020Hun-Ka4 et al. declared that Article 1118 of the Civil Code violates the Constitution by failing to apply mutatis mutandis Article 1008-2 concerning contribution shares, thereby sever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served portion and contribution shares. The Court ordered legislative amendments by December 31, 2025. This decision has sparked academic debate, with two opposing perspectives emerging. One view argues that the primary rationale of the decision lies in the injustice of imposing the obligation to return the reserved portion on a contributing heir who has received compensatory gifts from the decedent. According to this view, the law should be amended to exclude such compensatory gifts from the base estate used to calculate the reserved portion. The opposing view, however, focuses on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reserved portion and contribution shares as the core issue of the decision. It contends that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 seeks to strongly safeguard contribution shares as compensable transactions, legislative amendments should deduct the contribution share from the base estate when calculating the reserved portion.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flaws of both perspectives. Furthermore, it proposes a broad legislative revision of the Civil Code to systematically link the reserved portion and contribution shares not only in cases where the person obligated to return the reserved portion is a contributing heir but also in cases where the claimant of the reserved portion is a contributing heir or where the person obligated to return the reserved portion is a third part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헌법불합치 결정의 주된 결정 이유
Ⅲ. 개정방안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법연구 第39卷 1號 목차
- 배우자 또는 동거인 자녀의 입양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외국인아동의 출생등록될 권리의 보편적·실효적 보장을 위한 추가 개선 방안
- 복수(複數)의 부 그리고 모
- 양육비청구권: 추상적 권리와 구체적 권리 - 대법원 2024. 7. 18. 자 2018스724 전원합의체 결정을 중심으로
-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에 관한 대법원 판례 및 하급심 판결의 동향
- 프랑스법상 행정청에 의한 입양승인
- 한국 입양법의 변화와 쟁점
- 프랑스법에서의 입양의 요건과 효과
- 혼인관계가 이혼으로 해소된 후에 혼인관계의 무효 확인을 구할 수 있는지의 여부 - 대법원 2024. 5. 23. 선고 2020므15896 전원합의체 판결
- 유류분과 기여분의 관계에 관한 개정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NEW
- 사해행위로 취소된 양도채권의 원상회복에 따른 제3채무자 보호의 문제-기판력의 확장을 포함하여
- 가족법연구 第39卷 1號 목차
- 배우자 또는 동거인 자녀의 입양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