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이츠의 초기 연시: 궁정연애와 가정된 연인의 죽음
이용수 0
- 영문명
- Early Love Lyrics of W. B. Yeats: Courtly Love and the Beloved’s Imagined Death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김재봉(Chae-b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47권, 183~2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이츠의 초기 시는 다소 몽환적이고 막연한 동경으로 표현된 사랑에 대한 고백과 토로가 많다. 이 경향은 초기 시들이 전반적으로 드러내는 다소 감상적인 내용적 측면과 일면 치밀하게 직조되지 않은 형식적 측면으로 인한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초기 연애시 여러 작품들은 효과적으로 우리의 감성에 호소해 일찍부터 대중적이고 보편적으로 수용돼 왔다. 예이츠의 연애 서정시들은 오랜 서양문화에 근원을 둔 궁정연애의 전통을 담고 있으며, 가정된 여성의 죽음을 통해 성취할 수 없는 현실의 사랑을 문학적으로 획득하고 있다. 서양 문화사를 관류하면서 현대까지 그 영향력을 보여주는 음유시인과 그들이 탄생시킨 궁정연애시의 전통은 단테와 로세티를 거쳐 예이츠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오랜 시적 전통을 계승해 자신만의 시학으로 발전시킨 예이츠는 자신의 초기 서정시에서 문학적 부재 혹은 죽음을 통해 연인의 사랑을 획득하는 작품 전개를 보여준다. 역설적으로 사랑과 죽음이 함께 융화돼 보편적 주제를 이루고 이 주제가 예이츠의 초기 연시를 통해 훌륭하게 발현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early works of W. B. Yeats are mainly rose poems influenced by the symbolist movement and his other works reflect the poet’s consciousness absorbed in occultism and mysticism. And some of them are filled with confessions and revelations of love expressed in somewhat dreamlike and vague longing. These tendencies generally show unrefined sentimental contents and loosely woven poetic patterns. But, nevertheless, his early love lyrics effectively appeal to our emotion and have been popular and widely accepted. Those early erotic verses, especially based on the traditional Western culture of courtly love, attain the beloved’s love in literature as it is not achievable in reality. The tradition of the courtly love lyrics has passed down from Dante through Rossetti to Yeats. Following the poetic tradition, Yeats often implies that the beloved is absent, unattainable, or even dead. Therefore, Yeats’s early love lyrics generate their own love out of such absence and death. Love and death are mingled together in Yeats’s early love lyric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퀘어링즈」(“Squarings”): 셰이머스 히니의 새로운 형식의 시
- W. B. Yeats’s “Among School Children”: A Buddhist Reading
- The Genealogy of the Damned:Yeats’s Purgatory (1939) and Faulkner’s Absalom, Absalom! (1936)
- “Yeats’s and Pound’s Craft and/or Life: Two ‘Petals on a Black, ... Bough’”
- Elemental Yeats
- Yeats Matters: Iconic Value and Visibility
- W. B. Yeats’s Tragic Gaiety in Sophocles’ King Oedipus
- Back in the Platonic Shadow: The Anti-Poetics of Memory Play
- 예이츠의 초기 연시: 궁정연애와 가정된 연인의 죽음
- 예이츠와 파트리크 쥐스킨트: 연금술의 시학
- 이미지즘을 통한 예이츠 시 읽기
- 예이츠의 ‘운명’과 ‘자유’에 깃든 스피노자의 사유
- 더블린의 「아가씨와 건달들」: 트레버(W. Trevor)와 조이스(J. Joyce) 읽기
- 「1919년」: 희생의 역사를 거부하기
- 예이츠 후기 시에 나타난 시적 자아
- [Book Review] Marjorie Howes and Joseph Valente, eds. Yeats and Afterwords (Notre Dame, Indiana: U of Notre Dame P, 2014. 348)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