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어과 학습지원대상학생 후보군 선정을 위한 교사의 관찰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bservational assessment tool for selecting candidates for English students in need of learning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혜정(Hye-Jung Heo)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4권 1호, 179~20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rubric that teachers can use for observational assessment when selecting candidates for English learning support students, and to derive future implications from it. With the 2022 English curriculum set to be implemented in classrooms starting in 2025 and the absence of even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observational assessment rubrics to which teachers can refer. To address this, five English teachers from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o create the rubric, which was then applied in their classroom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rubric involved three steps: setting evaluation criteria and presenting the evaluation content; determining the types of assessment tools; and describing the performance levels for each evaluation criterion on the scale. The cognitive domain focused on evaluating the alphabet and vocabulary in elementary school, while phrases, sentences, and content comprehension were the evaluation criteria for middle school. The affective domain criteria included confidence and initiative for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Unlike previous practices that uniformly selected learning support students based on quantitative assessment results, in this study the observational assessments by teachers play a crucial role, allowing participating teachers to experience a sense of efficacy and responsibility.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teacher train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observational assessments in the future.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영어 교사 교육에서 교육 실습으로서 수업 실연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 조사
- Challenges and strategies in online intercultural exchange: Perspectives from Chinese EFL students
- 배경변인에 따른 중등 영어교사 교과교육학 지식 수준 비교 분석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에 대한 사회적 담론 분석: 자연어 처리 기반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1-2024년 온라인 미디어 분석
- Analyzing changes in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re- and post-COVID-19 pandemic periods
- AI 기반 영어평가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종합연구 관점에서의 분석
- 초등영어 학습부진아 대상 ChatGPT 활용 어휘 및 문법지도 사례 연구
- 영어과 학습지원대상학생 후보군 선정을 위한 교사의 관찰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