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영어 교사 교육에서 교육 실습으로서 수업 실연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 조사
이용수 8
- 영문명
- Survey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microteaching as teaching practicum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현(Young Hyun Kim)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4권 1호, 51~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results of surveying 50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about the effects and usability of microteaching as teaching practicum on enhancing English teaching competence in the course of English subject matter education offered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was perceived as most significant to distinguish learning activities in terms of the practice and real use of language. (2) It was perceived as most significant to use teaching skills for presenting language and checking comprehension of it. (3) The most significant purpose of using classroom English was to confirm that language is something to use for real, not just something to do exercises and games. (4) Pre-service teachers mostly agreed upon the positive effects of microteaching to enhance their English teaching competence(i.e., teaching theories, planning and analyzing lessons, managing classes, teaching language). (5) Pre-service teachers mostly agreed upon the usability of learning activities(i.e., learning theories, planning lessons, performing, reflecting and observing lessons, self-evaluation) and the suitability of teacher feedback in microteaching to enhance their English teaching competence. The results in (4) and (5) were similar to those of surveying 41 pre-servic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about almost the same topics shown in Choi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to some exten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ects and usability of microteaching on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영어 교사 교육에서 교육 실습으로서 수업 실연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 조사
- Challenges and strategies in online intercultural exchange: Perspectives from Chinese EFL students
- 배경변인에 따른 중등 영어교사 교과교육학 지식 수준 비교 분석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에 대한 사회적 담론 분석: 자연어 처리 기반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1-2024년 온라인 미디어 분석
- Analyzing changes in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re- and post-COVID-19 pandemic periods
- AI 기반 영어평가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종합연구 관점에서의 분석
- 초등영어 학습부진아 대상 ChatGPT 활용 어휘 및 문법지도 사례 연구
- 영어과 학습지원대상학생 후보군 선정을 위한 교사의 관찰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