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에 대한 사회적 담론 분석: 자연어 처리 기반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1-2024년 온라인 미디어 분석
이용수 75
- 영문명
- A social discourse analysis on the English section of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alysis of online media from 2021 to 2024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based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현용(Whyun 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4권 1호, 151~1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social discourse on the English section of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K-CSAT) in online media from 2021 to 2024,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based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Scrutiny of 88,561 online documents employed Term Frequency (T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Bigram,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CONCOR), and sentiment analysis. The findings reveal three distinctive patterns. First, despite the introduction of absolute evaluation in 2018, grade-centered hierarchical culture remains dominant, leading to increased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as evidenced by ‘cram school (or private institute)’ showing the highest importance in TF-IDF analysis and eight differentiated learning strategy clusters emerging in CONCOR analysis. Second, early preparation trends are prominent, with the high importance of the ‘middle school’ keyword indicating that K-CSAT preparation begins at the middle school level. Third, sentiment analysis reveals that while positive sentiment (67.11%) predominates, negative sentiment (32.89%) is also significant, with learning burden and psychological pressure as major concern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data for policy improvement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social perceptions regarding the K-CSAT English section.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함의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영어 교사 교육에서 교육 실습으로서 수업 실연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 조사
- Challenges and strategies in online intercultural exchange: Perspectives from Chinese EFL students
- 배경변인에 따른 중등 영어교사 교과교육학 지식 수준 비교 분석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에 대한 사회적 담론 분석: 자연어 처리 기반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1-2024년 온라인 미디어 분석
- Analyzing changes in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re- and post-COVID-19 pandemic periods
- AI 기반 영어평가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종합연구 관점에서의 분석
- 초등영어 학습부진아 대상 ChatGPT 활용 어휘 및 문법지도 사례 연구
- 영어과 학습지원대상학생 후보군 선정을 위한 교사의 관찰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