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티아이소크라이시스 루테아가 안구건조 증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
- 영문명
- Effects of Tisochrysis lutea on Dry Eye Symptoms
- 발행기관
- 대한검안학회
- 저자명
- 김채원(Chae Won Kim) 김훈(Hoon Kim) 박유연(Yu Yeon Park) 박율리(Yuli Park) 조경진(Kyong Jin Cho)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23 No.4, 157~17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해양미세조류의 하나인 티아이소크라이시스 루테아(Tisochrysis lutea)는 항암 및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티아이소크라이시스 루테아 분말을 사용하여 안구건조 증상이 있는 성인에게서 그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구건조 증상이 있는 참가자 총 100명에게 티아이소크라이시스 루테아 분말 또는 대조식품(placebo)을 12주간 섭취시킨 후, 대조식품 대비 효과(안구표면질환지표[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눈물 분비량[Schirmer), 눈물막파괴시간[tear break-up time, TBUT), 각막결막염색)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OSDI 점수 변화량에서 시험군은 기저치 대비 섭취 12주 후 6.51점 낮아졌으며, 대조군은 2.88점 낮아져,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2). 눈물 분비량 변화량은 시험군에서 12주 후 우안에서 1.33 ± 3.71 증가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고(p = 0.020), 좌안에서도 1.93 ± 3.33 증가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p = 0.0003),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TBUT는 시험군 우안에서만 기저치 대비 6주 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 0.043).
결론: 티아이소크라이시스 루테아는 분말 형태로 섭취 12주 후 안구건조 증상이 개선되었으며, 눈물 분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안구 건조 증상이 있는 성인의 경우, 티아이소크라이시스 루테아를 눈 영양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isochrysis lutea is a marine microalga known for its anticancer and antioxidant propert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 lutea in adults with dry eye symptoms.
Methods: One hundred participants with dry eye symptoms were enroll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ne received T. lutea powder (test group), and the other received control food (placebo, control group) for 12 weeks. Subsequently, the measurements of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tear secretion (Schirmer’s test), tear break-up time (TBUT), corneoconjunctival staining, and safety assess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Results: In terms of the OSDI score, the value for the test group decreased by 6.51 points after 12 weeks of T. lutea powder intake, compared with baseline, whereas that in the control group decreased by 2.88 points, demonstr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02). The results of Schirmer's test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test group, the result for the right eye increased by 1.33 ± 3.71 after 12 weeks (p = 0.020), and that for the left eye increased by 1.93 ± 3.33 (p = 0.0003). However, no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BU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baseline in the right eye of the test group after 6 weeks of T. lutea powder intake (p = 0.043).
Conclusions: After 12 weeks of consumption in the powdered form, T. lutea improved the symptoms of dry eye and increased tear production. Therefore, T. lutea can be used as an eye supplement for adults with dry eye symptom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관절염과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17, 2018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들의 인식조사: 정기적 안저검사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
- 각막교정렌즈와 근시 조절
- 바이러스성 앞포도막염에서 생기는 각막내피세포손상
- 티아이소크라이시스 루테아가 안구건조 증상에 미치는 효과
- Comparison of Phys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Sutures and Knot Method to Prevent the Slippage of Sutured Scleral Fixation
- 수초희소돌기아교세포 항체 연관 시신경염 환자를 치료한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제13권 제2호 목차
- 치위생과 학생의 그릿과 문제해결능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가구유형 및 동반식사 여부와 구강검진 수검률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22-2023)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