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강생활 실천, 우울 상담, 그리고 자살률 간 관계: 대도시 지역과 그 외 지역

이용수  161

영문명
Relationship among Health Practices, Depression Counseling, and Suicide Rates: Urban Areas vs. Non-Urban Areas
발행기관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저자명
박성훈(Sung-Hoon Park)
간행물 정보
『사회통합연구』Vol. 5, No. 2, 43~6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도시 지역과 그 외 지역에서 건강생활 실천이 우울 상담과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점이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추가로, 두 지역에서 건강생활 실천과 자살 사이에 우울 상담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에 관해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0년 227개 시군구 자료를 이용하여, 부트스트랩 기법을 활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직접 효과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도시 지역에서 건강생활 실천율은 우울 상담률과 자살률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쳤지만, 그 외 지역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우울 상담률은 독립변수로써 전체 지역에서 자살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전 지역에서 건강생활 실천율 → 우울 상담률 → 자살률의 경로가 확인되지 않았다. 요약하면, 세 변인의 인과 관계는 대도시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건강한 생활을 실천하는 것은 우울증에 대한 정신 상담 행위를 높이고, 자살률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으며, 전체 지역에서 우울 상담률의 매개 역할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전체 지역에서 건강한 생활 습관이 자살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자살예방에 있어 정신 상담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대도시지역에서 건강한 생활 습관이 정신 상담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점은, 특히 인구가 밀집한 지역에서 예방적 정신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health practices on depression counseling and suicide between urban and non-urban areas. Additionally, it tested whether depression counsel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actices and suicide in both regions. To this end,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227 cities and counties in 2020 and conducted a mediation effect analysis using the bootstrap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garding direct effects are as follows: First, in urban areas, the rate of health practices positively (+) influenced both the rate of depression counseling and the suicide rate, while no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non-urban areas. Second, the rate of depression counsel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icide rate across all region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revealed that the pathway of health practices → depression counseling → suicide rate was not confirmed in any region. In summar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were confirmed in urban areas: practicing a healthy lifestyl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seeking mental counseling for depression and reduced the suicide rate, while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counseling was not observed across all reg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healthy lifestyle habits are effective in preventing suicide across all regions, but the effectiveness of mental counseling in suicide prevention may be limited. Furthermor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y lifestyle habits and increased mental counseling in urban area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ntal health care, particularly in densely populated region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훈(Sung-Hoon Park). (2024).건강생활 실천, 우울 상담, 그리고 자살률 간 관계: 대도시 지역과 그 외 지역. 사회통합연구, 5 (2), 43-65

MLA

박성훈(Sung-Hoon Park). "건강생활 실천, 우울 상담, 그리고 자살률 간 관계: 대도시 지역과 그 외 지역." 사회통합연구, 5.2(2024): 4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