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and Its Pedagogical Insights
- 발행기관
- YIXIN 출판사
- 저자명
- Li Pengli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Vol.3 No.1, 41~4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s a phenomenon that exists universally across different eras and countries. Essentially, it is a form of ideological education and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In the study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ideology is dynamically unified and is part of a continuum with utopia. The in-depth exploration of ideology by the sociology of knowledge helps us better understand the intrinsic meaning of the ideological content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are the main channel for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schools.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can provide some insights into the choice of teaching methods for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cluding strengthening the lecture method, thematic teaching, and the “greater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approach.
영문 초록
思想政治教育是不同时代、不同国家普遍存在的现象,它本质上是意识形态教育,属于知识社会学范畴。知识社会学研究中,意识形态是动态统一的,它和乌托邦是一个连续统一体。知识社会学对意识形态的深入探讨,有助于我们更好地理解作为思想政治教育内容的意识形态的内在意蕴。思政课是学校思想政治教育的主渠道,知识社会学研究可以为思政课教学方法的选择带来一些启示,包括加强讲授法、专题式、“大思政”教学。
목차
Ⅰ. 引言
Ⅱ. 思想政治教育本质上是意识形态教育
Ⅲ. 意识形态是知识社会学的研究对象
Ⅳ. 知识社会学视角下的意识形态教育
Ⅴ. 知识社会学对思想政治理论课教学方法选择的启示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