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소재로 한 전통문화 교육 보드게임 개발 연구

이용수  58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oard Game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based on Hahoe Byeolsingut Talnori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융복합학회
저자명
최영화(Young Hwa Choi) 리상섭(Sang Seub Lee)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융복합연구』제3권 제2호, 5~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보 제121호 하회탈과 하회별신굿탈놀이를 기반으로 한 전통문화 교육용 보드게임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회탈은 고려시대부터 전승되어 온 독창적인 문화유산으로 조형성과 상징성을 통해 한국 전통사회의 계층 구조와 사회적 역할을 풍자적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Livingston and Stoll(1973)의 시뮬레이션 게임 개발 절차를 적용하여 학습목표 설정, 게임 소재 선정, 구조 설계, 자료 개발, 규칙 작성, 테스트 및 수정의 단계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였다. 개발된 보드게임은 하회탈의 조형적 특성과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상징성을 반영하여 카드, 주사위, QR 코드 등의 요소를 통해 학습자들이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플레이 테스트 결과, 학습자들은 하회탈의 상징성과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역사적 의미를 쉽게 이해하고, 게임에 흥미를 느끼며 집중력을 발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하회탈과 하회별신굿탈놀이를 현대적 매체로 재구성함으로써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 교육 프로그램, 방과 후 학습, 문화 체험 행사 등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학습자들이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사회 풍자와 공동체적 의미를 체험하도록 설계된 이 게임은 전통문화 교육의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oard game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based on Hahoe Mask, National Treasure No. 121, and Hahoe Byeolsinguttal Nori. Hahoe Mask is a unique 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handed down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it satirically express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social role of Korean traditional society through formativeness and symbolism.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serve and transmit traditional culture in the modern society, and a new approach is required to overcome it. Therefore, this study systematically performed the steps of setting learning goals, selecting game materials, structural design, data development, rule writing, testing, and modification by applying Livingston and Stoll's (1973) simulation game development procedure. The developed board game is designed so that learners can naturally understand and experience traditional culture through elements such as cards, dice, and QR codes by reflect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hoe mask and the symbolism of Hahoe Byeolsinguttalnori. As a result of the play test, learners easily understood the symbolism of Hahoe mask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Hahoe Byeolsinguttalnori, were interested in the game, and showed concentr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new approach to preserve and transmitting traditional culture by reorganizing Hahoe mask and Hahoe Byeolsinguttalnori into modern media.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in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programs, after-school learning, and cultural experience events. Furthermore, this game, designed to allow learners to experience the social satire and community meaning of Hahoe Byeolsinguttalnori,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하회탈을 소재로 한 보드게임 개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화(Young Hwa Choi),리상섭(Sang Seub Lee). (2024).하회별신굿탈놀이를 소재로 한 전통문화 교육 보드게임 개발 연구. 평생교육융복합연구, 3 (2), 5-26

MLA

최영화(Young Hwa Choi),리상섭(Sang Seub Lee).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소재로 한 전통문화 교육 보드게임 개발 연구." 평생교육융복합연구, 3.2(2024): 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