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몽 요청 화행 전략 양상 대조 연구

이용수  77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strategic aspects of Korean and Mongolian request speech acts
발행기관
한국어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암갈란바야르(Amgalanbayar) 김성주(Seong-ju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어문화교육』제18권 2호, 55~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어 모어 화자(KNS)와 몽골어 모어 화자(MNS)의 요청 화행 전략은 친밀도, 사회적 힘, 요청의 성격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KNS는 '명령하기'와 '예비적 조건 언급'을 주로 사용한 반면, MNS는 '수행문 사용하기'와 '희망 표시하기'를 더 선호한다. 특히, MNS는 상위 관계와 낮은 친밀도 상황에서 '수행문 사용하기'와 '희망 표시하기'를 빈번히 사용하였고, KNS는 '명령하기'와 '예비적 조건 언급'을 선호하였다. 이는 두 언어 집단의 문화적, 언어적 차이가 요청 전략선택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request strategies of Korean native speakers (KNS) and Mongolian native speakers (MNS) differed according to intimacy, social power, and the nature of the request. KNS predominantly used “commanding” and “mentioning preconditions,” while MNS preferred “using performative statements” and “expressing wishes.” Notably, MNS frequently employed “using performative statements” and “expressing wishes” in situations involving higher social power or low intimacy, whereas KNS favored “commanding” and “mentioning preconditions.” Regarding the nature of the request, MNS mainly utilized “expressing wishes” and “using performative statements,” whereas KNS predominantly opted for “command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fluenced their choice of request strategie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암갈란바야르(Amgalanbayar),김성주(Seong-ju Kim). (2025).한·몽 요청 화행 전략 양상 대조 연구. 한국어문화교육, 18 (2), 55-82

MLA

암갈란바야르(Amgalanbayar),김성주(Seong-ju Kim). "한·몽 요청 화행 전략 양상 대조 연구." 한국어문화교육, 18.2(2025): 55-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