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통일 후 신라 6정·10정의 재편과 운용
이용수 61
- 영문명
- The Re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illa's Six Jeong(六停) and Ten Jeong(十停)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홍성열(Seong-yeol Hong)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33집, 203~2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신라 중고기 핵심 군사조직이며 삼국통일전쟁∼나당전쟁시 큰 역할을 담당했던 6정이 전쟁 이후 신라 군사조직 재편과정에서 해체되었는지, 아니면 존치되었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삼국통일 이후에도 6정은 변화하거나 축소, 또는 소멸되지 않고 계속 존속되었다.‘정’이름을 사용하는 군사조직을 보았을 때 6정은 10정의 상위부대로서 10정을 지휘하였다. 6정과 10정에 소속되어 있는 군관직을 살펴보면 보병군관만 소속되어 있는 6정과 기병군관이 포함되어 있는 10정이 서로 보완관계에 있었다고 판단된다. 6정 중 왕경의 대당을 제외한 5정은 군관구처럼 운영되었다. 5정 중 3정은 1개의 주를 관할하나, 상주정(귀당)은 2~3개의 주를 함께 관할하였다. 6정의 관할구역은 왕경-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와 연관되며, 1개의 정은 교통로상 경유지를 묶어 관할하였다. 6정의 각 구성부대는 같은 금색을 쓰는 10정 군사조직을 예하에 두고 지휘하였다. 왕경에서 출발하는 간선 교통로를 관리하기 쉬운 교통의 요지에 10정을 두고, 하나의 간선 교통로가 연결된 지역을 묶어 대당 외 지방 주둔 5정이 광역의 군관구의 모습으로 지휘하였다. 다만 완산정의 경우 금색이 백자인 데 반해, 삼량화정, 소삼정, 미다부리정은 금색이 흑색이기에 금색이 다르다. 이는 금마저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신라는 반란 진압 후 이 지역을 감시, 통제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군사적 위험도가 낮고, 왕경과 가까운 거리에 있어 왕경의 군사들이 빠르게 투입될 수 있는 남방지역을 관할하는 하주정을 폐지, 완산정으로 개편했기 때문으로 완산정은 반란 감시란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예하에 10정 조직을 두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we aim to discuss whether the Yukjeong (Six Corps), a core military organization during Silla's Middle and Late Period tha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wars of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Silla-Tang War, was disbanded or retained during the restructuring of Silla's military system after these wars. Even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Yukjeong continued to exist without significant changes, reductions, or dissolution.
Looking at military units that used the term 'jeong' (corps), the Yukjeong appears to have been the superior command unit over the Sipjeong (Ten Corps). When examining the military officer positions within the Yukjeong and Sipjeong, it is observed that the Yukjeong included only infantry officers, whereas the Sipjeong included cavalry officers as well, indicat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Among the Yukjeong, the Daedang (Capital Corps) in the royal capital was an exception, while the other five jeong functioned similarly to military districts. Of these five, three jeong governed a single province (ju), but the Sangjujeong (Gwidang) governed two to three provinces together.
The jurisdiction of the Yukjeong was closely linked to transportation routes connecting the royal capital and local regions, with each jeong overseeing specific waypoints along these routes. Each Yukjeong unit commanded subordinate Sipjeong units, which used the same geumsaek (unit color) system. The Sipjeong units were stationed at strategic transportation hubs originating from the royal capital, facilitating control over regions connected by main routes. The five local jeong, excluding the Daedang in the capital, managed vast military districts based on these transportation networks.
However, the Wansanjeong presented an exception. While most jeong used the same geumsaek, the Wansanjeong used white, differing from the black geumsaek of the Samryanghwajeong, Sosamjeong, and Midaburijeong. This distinction is believed to have resulted from a rebellion in Geummajeo. After suppressing the rebellion, Silla reorganized the region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disbanding the Hajujeong, which governed the relatively low-risk southern region near the capital, and restructuring it into the Wansanjeong. The Wansanjeong was established with the specific purpose of monitoring rebellion and, unlike other jeong, did not command subordinate Sipjeong units.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문왕대 군사조직의 재편과 6정·10정
Ⅲ. 신라 중대 정(停) 군사조직의 지휘계통과 운용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원문화연구 제33집 목차
- 나당군사동맹의 체결 시점 재고
- 나당연합군과 백제의 전쟁
- 나당전쟁기 고구려 백수성의 위치에 대하여
- 삼국통일 후 신라 6정·10정의 재편과 운용
- 신라 한주 관방시설 정비의 군사사적 의미
- 신라의 삼국통일 전후처리와 통일인식
- 신라 中·下代 전국 도로망과 지역 네트워크
- 삼국통일전쟁의 軍事史的 연구와 역사적 함의
- 신라의 報德國 경략과 一統 이념
- 충북의 철도 노선 변화와 도시공간구조
- 문화유산으로서의 선사시대 유적 활용 방안 검토 - 부여 송국리유적을 대상으로
- 한성기 백제 지방성으로서의 충주 장미산성 검토
- 666-667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 남한지역 무기단식 적석묘의 전개양상과 축조집단에 대하여
- 670년대 이후 고구려 유민과 신라·당 관계
- 삼국통일전쟁기 김유신의 전략과 전술
참고문헌
- 을유문화사
- 한국사론
- 역사와 현실
- 탐구당
- 한국사연구
- 국학자료원
- 春秋文庫
- 서울대학교출판부
- 한국고대사연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중앙고고연구
- 신라문화
- 은서
- 학연문화사
- 白山學報
- 한국사연구
- 高句麗渤海硏究
- 탐라문화
- 韓國學報
- 일조각
- 일조각
- 한국고대사연구
- 大丘史學
- 歷史敎育論集
- 大丘史學
- 일조각
- 한국고대史硏究
- 한국군사사
- 역사교육론집
- 주류성
- 천년의 역사와 문화
- 삼인
- 천년의 역사와 문화
- 민족문화연구
- 韓國學報
- 일지사
- 軍史
- 역사와 현실
- 주류성
- 학연문화사
- 韓國史硏究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혜안
- 역사산책
- 한국고대사연구
- 신라문화
- 新羅文化
- 천년의 역사와 문화
- 중원문화연구
- 중원문화연구
- 전북사학
-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 인문학연구
- 한국사론
- 中央史論
- 統一期의 新羅社會 硏究
- 釜大史學
- 역사와 경계
- 한국고대사연구
- 서경문화사
- 한국고대사탐구
- 북악사론
- 한국고대사탐구
- 군사사, 어떻게 볼것인가
- 史學硏究
-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史學雜志
- 新羅史の諸問題
- 歷史學硏究
- 朝鮮學報
- 朝鮮學報
- 新羅史基礎硏究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