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 한주 관방시설 정비의 군사사적 의미
이용수 79
- 영문명
- The Military History Meaning of the Maintenance of Military Facilities in Hanju of Silla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윤성호(Sung-ho Yun)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33집, 179~20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6세기 중반 신라의 북진기에는 신복속지에 대한 지배가 확립되지 않은 상태였다. 신라는 신주의 치소와 대중국 해상 교역로의 출발점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중심으로 관방시설을 구축하였다. 이 시기에 하남 이성산성, 화성 당성, 안성 죽주산성, 용인 할미산성이 축조되었다.
6세기 후반에 고구려가 신라에 대한 공세를 시작하면서 한강 이북 지역의 상황은 불안해졌다. 신라는 7세기 초에 북한산성 전투를 통해서 한강 이북지역부터 회복하려는 고구려의 시도를 무산시켰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라는 신주의 대민지배를 확립하고 고구려를 방어하기 위한 관방시설을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집중적으로 축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한강 이북지역에서는 중랑천 수계를 따라 양주 분지, 한강과 임진강의 합류지점에 관방시설을 구축하였다. 한강 이남 지역에서도 안양천 수계와 당성을 보호하기 위해 서해안 지역과 한강 하구의 주요 요충지에 축성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남쪽으로는 안성천 유역까지 관방시설을 구축하며 신주의 치소를 방어하는 관방체계를 확립하였다.
신라는 낭비성 전투 이후에 방어선을 임진강-한탄강 남안까지 북상시키며 고구려와 대치하였고, 이러한 관방체계는 고구려가 멸망하는 시점까지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나당전쟁기에 당군의 남진을 저지하는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는 점에서 군사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e mid-6th century, Silla was unable to completely control its newly acquired territory. Silla built military facilities centered on the road connecting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Sinju and the maritime trade port with China. During this period, Iseongsanseong Fortress in Hanam, Dangseong Fortress in Hwaseong, Jukjusanseong Fortress in Anseong, and Halmisanseong Fortress in Yongin were built.
As Goguryeo began attacking Silla in the late 6th century, the situation north of the Hangang River became unstable. However, Silla thwarted Goguryeo's attempt to recover from the area north of the Hangang River through the Battle of Bukhansanseong Fortress. In this process, Silla established its rule over Sinju and intensively built military facilities to defend against Goguryeo around the early 7th century. In the area north of the Hangang River, Silla built military facilities in the Yangju Basin along the Jungnangcheon Stream and at the confluence of the Hangang River and Imjingang River. In the area south of the Hangang River, fortress were built at major strategic locations along the west coast and at the Hangang River Estuary to protect the Anyangcheon Stream and Dangseong Fortress. And to the south, military facilities were built up to the Anseongcheon Stream basin, establishing military defense system to defend administrative center of Sinju.
After the Battle of Nangbiseong, Silla moved its defense line north to the southern banks of the Imjingang River and Hantangang River to confront Goguryeo. This military defense system is significant in military history in that it was not only maintained until the fall of Goguryeo, but also provided the basis for blocking the southward advance of the Tang army during the Silla-Tang War.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 북진기 주요 거점의 축성
Ⅲ. 7세기를 전후한 동시다발적 관방시설의 축조
Ⅳ. 신라 한주 관방시설의 특징과 의미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원문화연구 제33집 목차
- 나당군사동맹의 체결 시점 재고
- 나당연합군과 백제의 전쟁
- 나당전쟁기 고구려 백수성의 위치에 대하여
- 삼국통일 후 신라 6정·10정의 재편과 운용
- 신라 한주 관방시설 정비의 군사사적 의미
- 신라의 삼국통일 전후처리와 통일인식
- 신라 中·下代 전국 도로망과 지역 네트워크
- 삼국통일전쟁의 軍事史的 연구와 역사적 함의
- 신라의 報德國 경략과 一統 이념
- 충북의 철도 노선 변화와 도시공간구조
- 문화유산으로서의 선사시대 유적 활용 방안 검토 - 부여 송국리유적을 대상으로
- 한성기 백제 지방성으로서의 충주 장미산성 검토
- 666-667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 남한지역 무기단식 적석묘의 전개양상과 축조집단에 대하여
- 670년대 이후 고구려 유민과 신라·당 관계
- 삼국통일전쟁기 김유신의 전략과 전술
참고문헌
- 서울大學校 國史學科 博士學位論文
- 新羅史學報
- 군사연구
- 軍史
-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 선사와 고대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과 역사
- 국학연구
- 史學志
- 학예지
- 先史와 古代
- 新羅史學報
- 先史와 古代
- 史學志
- 학연문화사
- 안성 죽주산성의 역사적 가치 재조명
- 용인 할미산성 발굴조사 성과와 보존활용 방안
- 檀國大學校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 서울 호암산성 그 여정과 도 약 학술대회
- 京畿道의 城郭
- 二聖山城 -이성산성 발굴 20주년 기념 특별전
- 연천 대전리 산성 학술회의
- 양주 대모산성의 재조명
- 漢陽大學校 文化人類學科 碩士學位論文
- 양주 대모산성의 재조명
- 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 계간 한국의 고고학
- 성곽유산의 연구성과와 보존정비 방향 남한산성
- 서울 경기지역 삼국시대 산성과 불암산성
- 한국의 성곽유산
- 진인진
- 湖西史學
- 학예지
- 高麗大學校 韓國史學科 博士學位論文
- 역사와 경계
- 한국고대사탐구
- 先史와 古代
- 선사와 고대
- 한국학논총
-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一潮閣
- 乙酉文化社
- 용인 할미산성 발굴조사 성과와 보존활용 방안
- 韓國古代史探求
- 釜山史學
- 하남 역사 총서
- 동양학
- 歷史學報
- 경인문화사
- 동북아역사재단
- 신라고고학개론
- 韓國古代史硏究
- 新羅文化
- 石堂論叢
- 서경문화사
- 景仁文化社
- 주류성
- 韓國古代史探究
- 先史와 古代
- 先史와 古代
- 日新社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