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차분포모형을 이용한 인구와 지가의 인과성 분석 - 전국과 서울의 비교

이용수  21

영문명
Causal Analysis of Population and Land Price using Lag Distribution Model : Comparison Between Nationwide and Seoul
발행기관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저자명
김승환(Seung Hwan Kim) 김동환(Dong-Hwan Kim)
간행물 정보
『부동산융복합연구』제4권 제4호, 43~6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국과 서울로 구분해서 인구수와 지가에 대한 인과성을 시차분포모형과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해서 확인했으며, 인과성이 나타난 변수들에 대해서는 교차상관분석을 실시해서 기준변수와 설명변수의 영향이 선행적으로 또는 후행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했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의 지가와 인구수의 인과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국 인구수가 전국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전국의 인구수 증가는 일 년을 선행적으로 전국 지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서울의 지가와 인구수의 인과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서울 자가가 서울의 인구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서울의 인구수 증가는 일 년을 후행적으로 서울 지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지가는 인구수와 영향 관계가 있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특히 전국과 서울의 인구수와 지가는 서로 선행 또는 후행하는 상관관계와 일정 시간 반응하는 기간이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따라서 인구변화와 지가의 변화를 면밀히 분석해서 앞으로의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부동산정책을 실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nd land prices using a distributed lag model and Granger causality tests, focusing on nationwide and Seoul data. Cross-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ading or lagg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First, the causality analysis between nationwide land prices and population revealed that the national population impacts national land prices. Population was found to influence land prices with a one-year leading effect. Next, the causality analysis between Seoul land prices and population indicated that land prices are influenced by population. However, the effect was observed to be lagging, with land prices responding to population changes after one year. These findings demonstrate a temporal interplay between population and land prices, with differing patterns of causality at the national and Seoul level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real estate policies tailored to these dynamics to promote market st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의 틀
Ⅳ. 인구와 자가의 인과성에 대한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환(Seung Hwan Kim),김동환(Dong-Hwan Kim). (2024).시차분포모형을 이용한 인구와 지가의 인과성 분석 - 전국과 서울의 비교. 부동산융복합연구, 4 (4), 43-61

MLA

김승환(Seung Hwan Kim),김동환(Dong-Hwan Kim). "시차분포모형을 이용한 인구와 지가의 인과성 분석 - 전국과 서울의 비교." 부동산융복합연구, 4.4(2024): 4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