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X Empathy Strategy for Introverted Users Through an AI Interviewer : Exploring the Needs and Wants of Introverted User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김종하(Jong Ha Kim) 김권호(Kwon Ho Kim) 최종우(Ryan Jongwoo Choi)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7권 제2호, 103~11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자인의 첫 단계는 사용자 경험에 대한 공감에서 시작된다. 특히, 디자인씽킹과 UX 디자인이 주요한 이슈로 자리 잡은 이후로, 사용자와의 공감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공감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이 사용자 인터뷰지만, 내성적인 사용자의 경험을 디자인에 충분히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UX 리서치에서 일부 사용자 경험이 누락되어 편향적이거나 비효율적인 디자인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본 연구는 AI 인터뷰어를 활용하여 내성적인 사용자의 니즈와 원츠를 탐색하고, 이로써 UX 리서치의 포용성을 확장하는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내성적인 사용자들을 선정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인간 인터뷰어와 AI 인터뷰어를 경험시키고, 둘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인터뷰이의 감정 변화와 인터뷰 결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AI 인터뷰어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내성적인 사용자와의 인터뷰에서 요구되는 주요 요소들을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내성적인 사용자를 위한 AI 인터뷰어 활용 프로세스와 AI 인터뷰어의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UX 디자인 리서치에서의 포용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first step in design begins with deep empathy for user experience. As design thinking and UX design have become key issues, empathy has grown essential. User interviews are widely used, yet they often fail to capture experiences of introverted or communication-challenged users, risking biased or ineffective design outcomes.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AI interviewers to better engage introverted users and broaden UX research inclusivity. By selecting introverted participants to experience both human and AI interviews, we analyzed emotional responses and interview outcomes. This analysis led to identifying key improvements for AI interviewers and proposes a new approach to UX research that enhances inclusivity and effectivenes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설계 및 데이터 수집
4. AI 인터뷰어 설계 및 테스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디자인학연구 제27권 제2호 목차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연담도시화와 도시외곽 중심개발이 도시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분석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 뮤지컬 레미제라블의 I Dreamed a Dream과 On My Own 매쉬업을 통한 음악적·서사적 특징 분석
- 일제 강점 후반기 재조선 일본인들의 근대도예(近代陶藝) 성립과정과 특징적 양상
- 중국 노인의 건강 모니터링에서 스마트워치의 응용 및 문제 분석
- 인터랙티브 컷신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대한 공감이 플레이어 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 『위쳐 3: 와일드 헌트』을 중심으로
- 중·일 영롱자 장식기법의 발전 양상 비교연구 - 소영롱 이외의 작품을 중심으로
- 1950년대 샹소니에 작품에 내재된 민중시적 특징 고찰
- 가스펠 음악에 나타나는 흑인민권운동의 메시지에 대한 고찰
- 백두대간 산림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연구
- 노량진로 주변의 수평적 도시조직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도시 경관의 형성과 도시기반시설에 대하여
- AI 인터뷰어를 통한 내성적인 사용자의 UX 공감 전략 - 내성적인 사용자의 니즈와 원츠 탐색 방안
- 영상 콘텐츠 배경음악 제작 및 유통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