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 경력 교사의 과제 변형 사례 연구: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의 역동적 작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91
- 영문명
- A Case Study on an Experienced Teacher's Task Modification: Focusing on Dynamics between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문성재(Sung-Jae Moon) 노정원(Jeong-Won Noh) 이경화(Kyeong-Hwa Lee)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4권 4호, 933~9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창의성을 고려한 교사의 과제 변형 과정을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의 역동성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 틀을 제시하고 한 경력 교사의 과제 변형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교사가 과제의 체제 및 개별 과제를 변형하는 방식을 거시적인 차원에서의 연속성, 미시적인 차원에서의 상보성, 그리고 과제가 요구하는 상호작용의 유형 측면과 연관지어 분석하는 틀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틀을 바탕으로 한 경력 교사가 3년간 참여한 연구 공동체 활동 과정에서 1년차와 3년차에 수행했던 과제 변형 과정을 분석하여 비교해본 결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가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 사이의 역동적인 작용을 고려하여 과제를 변형한다는 것의 구체적인 의미를 드러내어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imed to propose a framework for analyzing how teachers engage in task modification considering mathematical creativity, focusing on the dynamics between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We also examined a case involving an experienced teacher who participated in a research community over a three-year period. By reviewing prior research, we developed a framework that links teachers' task modification processes to continuity at the macro level, complementarity at the micro level, and interaction types. Using this framework, we analyzed the task modification process of the experienced teacher in her first and third year of the research community. This comparison revealed significant shifts in how the teacher approached task modification, highlighting the dynamics between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학연구 제34권 4호 목차
- 고등학생들의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 수준 분석 연구
-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순회지도: 모두가 사용하지만 모두가 모르는 개념
- ‘제3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계획과 실행 간의 연결성
- Incorporating Mathematics into STEAM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y: A Pedagogical Model
- 무한소수를 활용한 실수의 정의에 대한 소고
-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내용의 연결 방식 분석
- ChatGPT 기반 챗봇을 활용한 예비교사 교육의 사례 분석
- 대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분석: 국내대학과 미국대학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을 위한 수학사 활용 연구 분석: Scoping Review
-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를 활용한 공변 지도
- 한 경력 교사의 과제 변형 사례 연구: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의 역동적 작용을 중심으로
-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지오지브라 클래스룸 기반 수학학습 모델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참고문헌
- The Arithmetic Teacher
- ZDM - Mathematics Education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Creativity Research Journal
- American Psychologist
- McGraw-Hill
- School Mathematics
- ZDM - Mathematics Education
- ZDM - Mathematics Education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School Mathematics
- Education Research Studies
- Asia-Pacific Education Review
- Seoul: Kyungmoon Sa
- ZDM - Mathematics Education
- ZDM Mathematics Education
- School Mathematics
- Pedagogical Research
-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 Proceedings of the 31st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 ZDM - Mathematics Educatio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ZDM - Mathematics Education
- School Mathematics
-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Springer
- Creativity and giftedness: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from mathematics and beyond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