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를 활용한 공변 지도
이용수 62
- 영문명
- Teaching Covariation Using the Perimeter and Area of Polygon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방정숙(JeongSuk Pang) 김리나(Leena Kim)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4권 4호, 911~9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등학교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를 다룬 연구는 꽤 있지만, 핵심 개념인 공변을 집중적으로 다룬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를 활용하여 공변을 지도한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수업은 5학년 1학기 3단원 규칙과 대응, 6단원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를 학습한 이후에 3차시 동안 진행하였다. 1차시 수업에서는 정사각형에서 한 변의 길이 변화에 따른 둘레의 변화를 탐색하고 식으로 표현하기, 2차시와 3차시 수업에서는 다각형의 넓이 변화를 탐색하고 해당 넓이를 식으로 표현하는 것을 다루었다. 이때 둘레와 넓이를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변수를 학습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여 초등학생들이 공변과 변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생들은 수업을 통하여 두 양이 동시에 변하는 상황을 이해하고 두 양의 변화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제시된 함수표를 사용하여 두 양 사이의 관계를 추론하여 식 사이의 관계를 좀 더 쉽게 인지하고 표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공변의 지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While there are many stud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core concept of covar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ase study of teaching covariation to fifth-grade students using perimeter and area of polygons. Three lesson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semester of fifth grade, following the study of rules and correspondences in Unit 3 and the perimeter and area of polygons in Unit 6. The first lesson was about exploring and expressing changes in perimeters as the length of a side of a square changes, and the other lessons were about exploring and expressing changes in area of a polygon. In these lessons, we provided tasks that naturally built on perimeter and area to see if elementary students could understand covariations and variables. As a result,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in which two quantities change simultaneously and to represent the change of two quantities in various ways. Students also used the given function table to reas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quantities, making it easier to perceive and represent relationships between expre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covaria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학연구 제34권 4호 목차
- 고등학생들의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 수준 분석 연구
-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순회지도: 모두가 사용하지만 모두가 모르는 개념
- ‘제3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계획과 실행 간의 연결성
- Incorporating Mathematics into STEAM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y: A Pedagogical Model
- 무한소수를 활용한 실수의 정의에 대한 소고
-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내용의 연결 방식 분석
- ChatGPT 기반 챗봇을 활용한 예비교사 교육의 사례 분석
- 대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분석: 국내대학과 미국대학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을 위한 수학사 활용 연구 분석: Scoping Review
-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를 활용한 공변 지도
- 한 경력 교사의 과제 변형 사례 연구: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의 역동적 작용을 중심으로
-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지오지브라 클래스룸 기반 수학학습 모델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참고문헌
- Heinemann Educational Books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Proceedings of the 38th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ZDM-Mathematics Education
-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 Algebra in the early grades
- The futur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algebra the 12th ICMI study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32nd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ZDM-Mathematics Education
- Algebra in the early grades
-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 Compendium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Mathematics
-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 Sage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