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뉴미디어의 3막 구조 서사 구성 활용 연구: 유튜브 스케치코미디, OTT드라마, 웹드라마 등 러닝 타임 다양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16

영문명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3-Act Structure Narrative Composition of New Media: YouTube Sketch Comedy, OTT Drama, Web Drama. Focusing on the Diversity of Running Time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정혜원(Hyewon Jung) 양윤호(Yunho Yang)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101호, 99~13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23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895년 영화의 시초로 꼽히는 <열차의 도착> 이후, 영화 작법에 대한 서적이 본격적으로 집필된 1990년대까지 100분 규모 혹은 120분 규모의 영상 시나리오는 3막으로 나뉘어 1막 구성점1, 2막 중간점, 구성점2, 클라이막스, 3막을 필수 요소로 두고발전해왔다. 영화연구101 그러나 COVID-19이후 극장 문화가 쇠락하고 OTT, 숏츠, 릴스 등의 뉴미디어가출현하면서 ‘시리즈’로 분류되는 시나리오의 확장성에 대한 논의는 증가하였으나 짧은 구성으로 대표되는 ‘웹드라마, 쇼츠, 릴스와 같은 짧은 영상 시나리오에서 3막 구성에 여전히 유효한가’에 대한 질의는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러닝타임별 대표 작품 분석을 기반으로 유튜브쇼츠와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스케치 코미디, OTT 기반의 웹드라마까지 짧은 극적구성을 갖춘 서사구성에서도 기존의 3막 구성이 유효한지. 유효하다면 그 최소 요건은 무엇인지를 해석하는 데 목적을 갖는다. 대표적으로 분석할 작품의 기준은 최소 3분 이상의 극적구성(인물, 사건, 배경)를가진 영상 작품으로 한정한다. 또한 기존의 극장 배급 영화 기준 100억대 영화의 손익 분기점인 250만명의 조회수를 넘긴 작품을 대표작으로 선별하였다.1) 해당 선별의이유는 각 작품의 제작비를 추정하지 못하더라도 조회수에 한정해 극장 배급 이상의흥행 수익을 낸 작품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짧은 러닝 타임 영상 작품을 총3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 10분 내외의 영상 시나리오, 2) 20분 내외의 영상 시나리오 3) 30분 내외의 짧은 영상작품의 서사구성이 연구의 중심 지표로 기능할 예정이다. 본 연구가 목표로 하는 것은 짧은 러닝타임의 영상 서사구성에서 사용되는 3막 구성의 변주 방식이며 현대 영상 시나리오의 발전 방향을 창작자적 관점으로 도식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이드 필드 시나리오란 무엇인가와, 시나리오 넷셀 테크닉, SAVE The CAT등의 고전 작법서의 서사구성 연구를 참조하여 뉴미디어 서사구성에서 3막 구조가 아직 유효한가를 분석한다. 만약 유효하다면 기존의 100분이라는고전 영화 작법 구성에서 약 2-3분 단위로 줄어든 서사 구성에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1막에 위치하는 기폭제(구성점 1)의 최소 성립 요건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다양한 매체로 발돋움하는 창작자를 위해 새로운 작법 연구이다. OTT 플랫폼의 도입과 뉴미디어의 발전이 창작자와 및 관객에게 어떤 영향을미쳤는지를 해석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Since the arrival of the train, which is considered the beginning of film in 1895, until the 1990s when books on filmmaking were written in earnest, 100-minute or 120-minute video scenarios were divided into three acts and developed with Act 1 Composition Point 1, Act 2 Midpoint, Composition Point 2, Climax, and Act 3 as essential elements. However, after COVID-19 in the 2020s, with the decline of theater culture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such as OTT, shorts, and reels, discussions on the expandability of scenarios classified as ‘series’ have increased,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questions on whether web dramas, shorts, and reels, which are represented by short compositions, are still valid for the three-act composition.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analysis of representative works by running time, examines whether the existing three-act composition is valid in narrative compositions with short dramatic compositions such as YouTube shorts, Instagram reels, TikTok, sketch comedy, and OTT-based web dramas. If valid, the purpose is to interpret what the minimum requirements are. The representative criteria for the work to be analyzed are video works with a dramatic composition (characters, events, background) of more than 3 minutes, and are limited to works that have recorded a break-even point of 10 billion theaters or more than 2.5 million viewers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The analysis will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for works that meet the requirements. The stages will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of short video works of 1) video scenarios of about 10 minutes, 2) video scenarios of about 20 minutes, and 3) video scenarios of about 30 minutes based on the running tim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tion method of the 3-act composition used in short running time video narratives and to diagram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odern video scenario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or.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three-act structure is still valid in new media narrative composition by referring to the narrative studies of classic writing books such as Sidefield’s What is a Scenario , Scenario Netsell Technique , and SAVE The CAT , and if it is valid, what are the essential components for a narrative composition that has been reduced from the existing 100-minute classic film writing composition to about 2-3 minutes. And finally, it describes the minimum establishment requirements of the detonator (composition point 1) located in the first act.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study new writing methods for creators who are stepping into various media, and to analyze cases that utilize classic writing methods in new media and interpret what impact such cases had on the audience.

목차

1. 서론
2. 100분 기준 3막 구성 영상 작법 도식 분석
3. 10분 내외 작품에서의 구성 변주 : 유튜브 스케치 코미디 <너덜트>, <숏박스>를 중심으로
4. 20분 내외 작품에서의 구성 변주 : <퐁당퐁당 love>, <연애플레이리스트>, <에이틴>을 중심으로
5. 30분 내외 작품에서의 구성 변주 : <밤이 되었습니다>, <술꾼도시 여자들>을 중심으로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원(Hyewon Jung),양윤호(Yunho Yang). (2024).뉴미디어의 3막 구조 서사 구성 활용 연구: 유튜브 스케치코미디, OTT드라마, 웹드라마 등 러닝 타임 다양성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 99-131

MLA

정혜원(Hyewon Jung),양윤호(Yunho Yang). "뉴미디어의 3막 구조 서사 구성 활용 연구: 유튜브 스케치코미디, OTT드라마, 웹드라마 등 러닝 타임 다양성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4): 99-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