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cursivity of Post-cinem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도훈(Dohoon Lee)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1호, 69~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23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포스트-시네마의 재귀성을 고찰하기 위한 시도이다. 포스트-시네마는 필름 영화가 디지털 영화로 대체되는 전환기에 출현하는 하나의 역사적 사건으로, 영화를 구성하는 기술적, 물질적, 형식적, 미학적 요소의 변화로 인한 영화의 개념적 및 경험적 변화를 의미한다. 이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일부 개념을 비교 및 대조하여 포스트-시네마의 주요 특징이 재귀성, 즉 영화가 자신의 자리를 찾아서 돌아오는 특성에 있음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앙드레 고드로와 필립 마리온의 ‘영화의 이중 탄생’, 프란체스코 카세티의 ‘재배치’를 통시적 접근으로, 그리고 스티븐 샤비로의 ‘탈-연속성’과 셰인 덴슨의 ‘탈상관적 이미지’를 공시적 접근으로 구분한다. 통시적인 관점에서 포스트-시네마는 영화의 시원적 모델 혹은 고유한 모델을 자기-반영적인 차원에서 개선하여, 현재의 새로운 영화 모델을 창안하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것은 동시대의 영화가 자기-회귀적, 자기-반영적, 자기-개선적, 자기-구성적인 특징이 있음을 의미한다. 공시적인 관점에서 포스트-시네마는 최신의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기존의 전통적 영화 형식을 비판적으로 계승함으로써, 동시대 미디어 일반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과 지각 경험을 창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동시대 영화가 자기-회귀적, 자기-반영적, 자기-개선적, 자기-확장적인 특징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 서로 다른 두 관점을 종합해볼 경우, 포스트-시네마는 과거의 영화 모델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동시에 동시대의 영화를 다른 미디어와의 관계 속에서 재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recursivity of post-cinema. Post-cinema refers to a historical event that occurs at a time when film is being replaced by digital. And it refers to the conceptual and experiential changes in cinema due to changes in the technical, material, formal, and aesthetic elements that make up cinem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contrast some of the concepts raised in previous studies in this field, in order to show tha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cinema lie in recursivity. To this end, André Gaudreault & Philippe Marion’s ‘the cinema’s double birth’ and Francesco Casett’s ‘relocation’ are classified as a diachronic approach. Steven Shaviro’s post-continuity and Shane Denson’s discorrelated images are belong to the synchronic approa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post-cinema can be summarized as the creation of a new model of cinema by improving the original or unique model of cinema from a self-reflective perspective. This means that contemporary cinema have self-regressive, self-reflective, self-self-improving, and self-constructive characteristic.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post-cinema can be understood as the creation of new form and perceptual experience that can be applied to contemporary media in general by critically inheriting the existing traditional film form by utilizing the latest digital technology. This means that contemporary cinema have self-regressive, self-reflective, self-improving, and self-expanding characteristic. When these two different perspectives are put together, post-cinema means re-examining the past model of cinema and exploring new possibilities for application to the current model of cinema while interacting with other contemporary media to create a new model of cinema.
목차
1. 디지털 영화 이후와 너머
2. 통시적 접근: 영화의 재탄생 혹은 재배치
3. 공시적 접근 : 탈-연속성과 탈상관성
4. 영화의 지연된 귀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