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Z세대의 동료에 대한 주관성 연구: 국내 EAP기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356
- 영문명
-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Generation Z's Colleagues: Focusing on EAP Compani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지민(Ji-Min KIM) 이송이(Song-Yi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5호, 293~31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Z세대들의 동료에 대한 인식 유형과 그 특성을 파악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국내 EAP기업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하여 국내 EAP기업의 Z세대 20명(남 9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40개의 Q표본에 대해 강제분류방식을 활용하여 Q소팅을 실시하였고,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료에 대한 주관성 인식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동료에 대한 인식은 “업무 협조형”, “정서적 안정형”, “성장 지지형”, “공적 관계형”이라는 4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Z세대들의 동료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여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동료를 활용한 교육 및 조직문화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domestic EAP companies to understand the types of perceptions of peers of Generation Z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depth. To this end,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Q sorting was conducted on 40 Q samples of 20 Gen Z (9 males and 11 females) of domestic EAP companies using the forced classification method, and the subjectivity perception of peers was explored using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perceptions of colleagues were derived into four types: “work cooperation type”, “emotional stability type”, “growth support type”, and “public relationship 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subjectivity of Gen Z's peers,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development using pe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자 대상 소진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심리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상담자 경력에 따른 차이 비교
- 빅데이터분석을통해살펴본인공지능(AI)에 대한 인식변화
- 인구학적 특성과 관계수준 및 생활양식이 성폭력 피해자 비난에 미치는 영향
- 군 간부 관련 군 상담 연구 동향: 2013년-2023년 학술지, 학위 논문 중심으로
- 인스타그램 상향비교와 수치심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인터넷중독 청소년 상담과정에 관한 현상학 연구: 상담자 경험을 중심으로
- 성인의 아동 및 청소년기 트라우마 경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AEDP 과정에서 현존 경험의 의미: ‘변형’으로의 동행
- 문화적응 어려움을 극복하는 심리적 자원으로서 끈기가 중국 유학생의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역할상실과 자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특별교육학생을 위한 PERMA모델 기반의 학교적응유연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Z세대의 동료에 대한 주관성 연구: 국내 EAP기업을 중심으로
- 복합외상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와 매개변인의 하위요인 탐색
-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MBTI의 사회적 인식 분석
- 사회정책과정 단계별 관련 괘의 사회정책적 해석과 정책적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