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iterature Review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Korea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
- 저자명
- 홍시명(Si Myung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지』제1권 제3호, 13~2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subjective happiness by reviewing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Method : A total of 41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keywords ‘nursing students’ and ‘subjective happiness’ from domestic databases (RISS, KISS, DBpia, ScienceOn, KoreaMed, KMBASE). Results : Research publication years from ‘2016 to 2020’ accounted for 51.2% of the studies. ‘Non-nursing’ journals constituted 80.5% of the publications. The studies involved participants from grades ‘1 to 4’ in 48.8% of cases. In terms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101 to 200’ individuals were involved in 48.8% of the studies, and ‘one school’ was the source in 46.3%. A significant portion, 80.5%, of the research was not approved by an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Most studies employed statistical measure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68.3%), and the number of authors was ‘two’ in 41.5% of the cases. The most commonly used instrument was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73.2%), and the key variable most freque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happiness was ‘self-esteem’ (12.4%). Conclusion : Continued research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nursing students' subjective happiness. Enhanced subjective happiness can help nursing students better adapt to college life and, as future nurses,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happiness of their patients, thereby providing higher-quality nursing car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산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시뮬레이션 경험에 대한 연구
- 임상 간호사의 역할갈등 개념분석
- 임상 간호사와 환자간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분석
- 한국과 외국 비의료계열 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차이
- 간호대학생들이 인식하는 ESG: 내용분석을 통한 적용
-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국내 동향 분석
- 국내 자살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PEARLS 적용 디브리핑 성찰일지에 대한 내용분석: 미숙아 대상자 간호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의료계 인공지능 기술이 간호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인공지능 기술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일반인들이 인식하는 ESG에 대한 인식연구
- 한국의 ESG 내 탄소중립 간호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