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rrelation with Corporate Capital Structure and Ownership Structure of South Korea Corporate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이지원(Ji-Won Lee) 오세열(Sei-Yeol Oh)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8권 제4호, 83~10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자본시장의 불확실성과 세계화로 인해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은 모든 기업이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과제로 부각되어왔다. 한국은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낙후된 기업지배구조가 전면으로 부상하게 되었고 소유구조, 재무구조, 사업구조에 대한 기업구조조정을 겪게 되었다. 그리하여 기업가치제고와 경영투명성강화, 경영자에 대한 감시와 견제기능의 강화가 필요한 조치로 나타났다.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이해해야할 부분은 소유구조와 자본구조의 유기적인 상관관계이다. 내부자지분율이 기업의 부채정책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기업의 부채정책이 거꾸로 내부자지분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상호 연계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일관된 결론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2년에서 2008년까지 기간을 대상으로 한국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자본구조와 소유구조에 관한 세 가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소유구조와 자본구조가 상호 독립적인 관계가 아닌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본구조방정식과 소유구조방정식을 2 SLS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기업의 소유구조와 자본구조는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최대주주지분율은 외국인지분율보다는 수익성과 결합하여 기업의 자본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였다. 수익성이 좋은 기업의 경우 최대주주지분율의 증가는 부채비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익성이 증가하는 경우 내부경영자는 재무위험을 극복할 수 있는 확신을 가지게 되고 이를 근거로 더 많은 부채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최대주주지분율과 레버리지 간 비선형관계를 분석하였다. 최대주주지분율과 자본구조의 관계는 비선형이며 2차함수의 형태로 나타났다. 최대주주지분율이 71.6%에 이르기까지 부채비율이 낮아지다가 그 이후에는 상승하는 형태를 보여준다. 이는 최대주주가 부채비율의 증가로 인한 재무위험과 경영자자신의 고용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자신의 지분이 71.6%에 이르기까지는 레버리지를 줄여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 이상으로 자신의 지분이 늘어나면 긍정적인 레버리지효과를 얻기 위하여 부채를 확대해 나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자본구조에 미치는 소유구조의 영향력을 분석하면서 기업의 배당유무만을 더미변수로 고려함으로써 배당정책의 영향력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진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통제변수와 더미변수 외에 시차를 둔 시계열자료를 보완한 연구가 이루어지면 보다 의미있는 결과가 나올 것이다.
영문 초록
Due to the uncertainty and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capital market, the issues of improvement about corporate capital structure in Korean firms have been carved out as the subject which all firms should urgently promote.
Korea’s lag behind corporate capital structure have appeared to the surface through the foreign exchange crisis, and it underwent corporate structure adjustment on ownership, financial and business structure.
Korea needed to promote corporate value improvement, strengthen business transparency, and reinforce supervision and intervention on managers.
In order to improve corporate capital structure, one needs to understand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capital structure.
Prior literature on the mutual relationship suggested that not only does the major shareholder equity ratio influences corporate debt strategy but inversely, corporate debt strategy affects major shareholder equity ratio. However, these studies have not reached a consistent result.
This research verifies three hypotheses based on the term 2002 to 2008. First, I have examined the question whether corporate ownership and capital structures are involved in a mutually dependent, or in a mutually independent, relationshi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pital and ownership structure equations in a 2 SLS method, it seems that corporate ownership and capital structures affect each other. Second, I have inquired into whether major shareholder’s equity combines with returns on assets rather than foreigners’ equity to affect corporate capital structure. In a company with good profitability, an increase in major shareholder’s equity acts in effect to increase debt ratio. We can infer that with higher return on assets the major shareholders feel convinced that the company can withstand financial risks and are likely to use more debts based on such belief. Third, I have analyz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major shareholder’s equity and leverag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hareholder’s equity and capital structure is non-linear, and is in the form of a quadratic function.
The limits to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is limited in the sense that in analyzing corporate debt strategy, the research considered the existence of corporate dividend as a dummy variable, thus not effectively examining the effects of dividend strategy inclusively.
Second, A more meaningful findings will arise from a supplemented study with time series data included time lag which is separate from the variables used in this research, such as control variables and dummy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가설 및 분석모형
Ⅳ. 실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文化变迁与大众传播之应用
- トップ·マネジメントの競争力と企業家活動 - エルピーダ·坂本幸雄の事例研究
-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敬語観に関する一考察
- 한·중 FTA시대를 대비한 농산물 무역구제제도 활성화 방안
- Sino-African Relationship : Partner for Developmentor 21stCentury Coloniser
- 잠정(暫定), 배제(排除), 단행(單行), 병행(竝行) 정립 과정을 거쳐 일본어로부터 유래된 한국어 법령 용어
- Theories and Practices in the Translation of Movie Titles
- 항만 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동북아 항만간의 벨트화 구상
- 한국기업의 소유구조와 자본구조간의 상호관련성
- Resentment of the Neoliberals in South Korea : Kim Jin-Sook and the Bus of Hope Movement
- The North Korean Missile Program : Origins, Capabilities and Future Trajectories
- 「明治初期」日本のアジア外交について - 明治維新前後から台湾出兵まで
- 중국 내 한류 문화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전략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윤리적 동기와 행동의 괴리: 공공봉사동기, 조직동일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
- 디지털 리더십과 정치적 현저성이 공무원의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