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Sustainble Growth Strategy of Hallyu Culture in China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윤상일(Sang-Il Yoon) 강재식(Jae-Shik Kang) 김형재(Hyung-Jae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8권 제4호, 43~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0년대 후반 중국에서 불기 시작한 한류(韓流)는 한국의 대중문화의 전파는 물론이고 다양한 차원의 경제·문화적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한류가 동아시아 지역으로 점차 확대되어 가면서 한류에 대한 경계의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문화를 세계 문화의 변방이 아닌 중심으로 발돋움시켜주고 있는 한류가 지속가능성을 통해 공고히 정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와 지속가능한 한류의 정착을 통하여 우리 문화산업의 증진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그 목적으로 한다.
현재 중국 내 한류는 한류의 성공으로 한국 문화상품에 대한 호감도의 증가와 동양과 서양의 스타일이 조화된 문화상품이라는 강점(Strength)요인과 문화적 유사성, 고정적인 한류 팬의 존재라는 기회(Opportunity)요인이 존재함과 동시에 한류 문화상품 가격의 상승, ‘킬러콘텐츠’의 부재, 현지에 대한 한류 확산 정보의 부족이라는 약점(Weakness)요인과 한국 문화상품의 침투에 대한 사회적 경계심의 증가와 복제품으로 실질적인 한국 문화상품의 수입이 미비하다는 위기(Threat)요인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같은 현실에서 한류가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governance) 체계의 구축을 바탕으로 문화산업정책의 우선순위를 보다 산업적인 가치에 두고, 다양하고 참신한 문화상품의 개발과 글로벌 미디어 그룹의 육성을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상대 국가와 문화적 차원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중국 정부의 반한류 규제정책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더 나아가 한류의 파생효과를 극대화하기 할 수 있도록 우리 제조기업의 상품력과 국가경쟁력 역시 수반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Having started in mainland China from the late 1990’s, Hallyu or the Hallyu not only disseminates Korean pop culture, but generates economic and cultural profits in many different aspects. At the same time, however, signs of objection to Hallyu are surfacing with the Hallyu spreading across the East Asian region.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ims to discuss ways to firmly establish Hallyu by making it more sustainable, as Hallyu has shifted the Korean culture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of the world culture, and to talk about measures to spur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Hallyu on to advance the cultural industry of Korea.
At present, Hallyu in China has factors of strength and opportunity, weakness and threat-strength in that Hallyu’s success has boosted favorability of Korean cultural goods in China and that Korean goods are a harmonious combination of Western and Eastern style, opportunity in that Hallyu has cultural similarities and a solid base of followers, weakness in that prices of Hallyu-related goods are on the rise, ‘killer-content’ is non-existent yet, information about how to spread Hallyu further on the ground is insufficient, threat in that China’s import of Korean cultural goods is falling due to increasingly disapproving attitude of the Chinese people towards Korean cultural goods and widespread counterfeit goods within China.
Under these circumstances, making Hallyu more sustainable requires us to build on establishing a governance system, to put more priority on industrial value in our policies for the cultural industry, and to devise strategies to make inroads into the global market by developing novel cultural products of diverse kinds and by nurturing a global media group. Coupled with these efforts, better quality goods by Korean companies and stronger national competitiveness are necessary to properly respond to the Chinese government’s restrictive policies against Hallyu and to maximize the spin-off effect of Hallyu, through various levels of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목차
Ⅰ. 서 론
Ⅱ. 한류 문화 형성 배경과 현황
Ⅲ. 중국 내 한류의 SWOT 분석
Ⅳ. 한류 문화 정착을 위한 제언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文化变迁与大众传播之应用
- トップ·マネジメントの競争力と企業家活動 - エルピーダ·坂本幸雄の事例研究
-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敬語観に関する一考察
- 한·중 FTA시대를 대비한 농산물 무역구제제도 활성화 방안
- Sino-African Relationship : Partner for Developmentor 21stCentury Coloniser
- 잠정(暫定), 배제(排除), 단행(單行), 병행(竝行) 정립 과정을 거쳐 일본어로부터 유래된 한국어 법령 용어
- Theories and Practices in the Translation of Movie Titles
- 항만 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동북아 항만간의 벨트화 구상
- 한국기업의 소유구조와 자본구조간의 상호관련성
- Resentment of the Neoliberals in South Korea : Kim Jin-Sook and the Bus of Hope Movement
- The North Korean Missile Program : Origins, Capabilities and Future Trajectories
- 「明治初期」日本のアジア外交について - 明治維新前後から台湾出兵まで
- 중국 내 한류 문화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전략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윤리적 동기와 행동의 괴리: 공공봉사동기, 조직동일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
- 디지털 리더십과 정치적 현저성이 공무원의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