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조정근(Joung Keun Cho) 최우석(Woo Suk Choi) 최강석(Kang Suk Choe)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2권 제4호, 21~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대형주 지수인 코스피 200지수와 추정모델에 기반하지 않은 변동성지수인 VKOSPI 지수 분석을 통해 대형주 주가지수와 변동성지수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負)의 관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정보제공지수로서의 VKOSPI 변동성지수의 비대칭적 정보성격의 규명에 주안점이 주어졌다.
본 연구진은 (1) 2003년부터 2007년말까지를 위험회피도 하락 및 양(陽)의 주가지수수익률 국면, (2) 2008년부터 2011년말까지를 위험회피도 상승 및 지수수익률 변동성 확대국면 및 (3) 2012년부터 본 연구데이터의 마지막 기간인 2015년 5월29일 (영업일 기준)까지 미미한 주가지수수익률을 기록한 위험회피도 조정국면으로 대 분류 하여 국면별 비대칭성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코스피200 지수수익률과 VKOSPI 변동성지수간에는 크게 두 가지 비대칭성이 존재하였는데, 첫째는 음(陰)의 주가지수수익률에 따른 VKOSPI지수의 상승폭이 양(陽)의 주가지수수익률에 따른 VKOSPI지수의 하락폭보다 훨씬 컸다는 점과, 둘째로 위험회피도 조정국면인 P3기간 동안 음(陰)의 주가지수 수익률로 인한 VKOSPI지수의 민감도가 여타 위험회피도 국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다는 점이다. 이는 위험회피도 조정국면에서 시장참여자들은 음(陰)의 주가지수수익률에 대해 위험회피도 상승국면에 비해 예상변동성의 변화량을 옵션가격에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방식으로 상대적인 민감도 상승을 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For the KOSPI200 Index (“Index”), a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returns of the Index and VKOSPI, the official model-free implied volatility index. The primary research purpose is to test VKOSPI as an informative and meaningful trading indicator.
The authors reorganized the data sample into 3 sub-periods: (1) Falling Risk-Aversion Regime: From January 2, 2003 to December 28, 2007 (P1) of pre-global financial crisis period of a declining VKOSPI, a positive market return and relatively small VKOSPI fluctuations. (2) Rising Risk-Aversion Regime: From January 2, 2008 to December 29, 2011 (P2) as the period of elevated VKOSPI and market stress. Steady risk-Aversion Regime: (3) From January 2, 2012 to May 29, 2015 (P3) a very low, consistent VKOSPI with mediocre market returns, especially in Korean equities.
Two types of asymmetric relationships exist; (1) negative stock index returns yield larger impact in VKOSPI than positive returns do, (2) VKOSPI has a larger response to negative Index returns during a steady risk-aversion and stable market return period. Specifically, this happens when market participants tend to become more sensitive to substantial bearish market movements. Market participants subsequently become more sensitive in pricing them into the expected volatilities than in periods of rising risk avers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Contemporaneous Changes in the KOSPI200 and the VKOSPI
Ⅲ. Conclusion
Ⅳ. Acknowledgements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지배구조와 금융기관차입금 비율
- 카자흐스탄 녹색성장정책 연구: ‘카자흐스탄 2050전략’과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Generic Entry on the Demand for Pharmaceutical Products
- A note on the flat-top size effect in the partition of unity method
- 동양그룹 사태를 계기로 본 금융소비자 보호 및 신용의 중요성
- An Asymmetric Nature of the VKOSPI Index
- 중국 거시경제의 변동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의 금융 포트폴리오 특성 분석
- 기업집단 주식을 보유한 공익법인의 재무성과에 관한 연구
- Social Identity Enhancement Strategy and Employees’ Job Attitudes: A Case of Chinese Immigrant Employees in Korea
- 세계 최장수기업 일본 金剛組의 기술인력 육성시스템에 대한 사례연구
- K-IFRS 도입이 이익발표 후 잔류현상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주식보유의 마찰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