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tributive Justice and Social Policy: Attempt As Convergence Study of Cultur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 for Reasonable Welfare Discussions in Korean Society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남현주(Hyun Joo Na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3권 제3호, 199~21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정책연구가 우리사회에서 합리적이고 생산적인 복지담론을 형성하는데 문화적으로 기여할 수는 없을까? 합리적 담론과 토론의 문화는 사회과학적 분석과 철학적·인문학적 통찰에 근거할 때 비로소 형성되는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정책연구를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을 융합하는 차원에서 시도해 보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분배정의의 이념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을 분석틀로 하여 사회복지정책의 유형을 탐색한다. 복지국가에 관한 기존의 정책연구들이 서구유형론의 기준이나 그밖에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복지체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회복지정책의 방향을 정립하는데 주력했다면, 본 연구는 분배정의의 이념과 사회복지정책의 유형 사이의 규범적 관계성에 착안하여 사회복지정책 모델을 범주화하고 이를 분석한다.
우선, 분배정의의 이념과 사회복지정책의 규범적 관계성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욕구와 성과, 개인과 집단이라는 네 가지 대칭적 요인을 2차원적으로 배열하여 사회복지정책의 유형을 네 가지로 범주화한다. 이때 욕구, 성과, 개인, 집단이라는 네 요인은 분배정의의 이념을 구성하는 규범적 가치기준이다. 이를 기준으로 범주화된 가치영역에 네 가지 사회복지정책 모델(보상적·교정적, 생산적, 시장자유주의적, 민주적 사회복지정책)을 위치시키고 이를 분석하여 이론적 함의를 도출한다.
이러한 시도는 정책연구를 규범적 가치영역과 연결시키는 메타이론적 성격을 가지며, 보다 근본적으로는 분배정의라는 규범적 척도를 근거로 사회복지정책의 유형을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한다는 차원에서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융합적 연구라는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복지정책 연구의 규범론적·가치이론적 토대를 체계화함으로써 우리사회에서 보다 생산적이고 합리적인 복지담론과 토론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Can‘t a policy study as an area of social science culturally contribute to forming a reasonable and productive welfare discussion in the Korean society? Isn’t the culture of reasonable discussions and debates formed based on social scientific analysis and philosophical and cultural insight? Then, isn’t it possible to try a policy study in a level to fuse cultur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 From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social welfare policies with major concepts of the ideology of distributive justice as the analytic frame. The conventional policy studies on welfare states have focused on analyzing welfare systems with the standards of the western typology or other various approaches and establishing the directions of social welfare policies, and this study categorizes and analyzes social welfare policy models based on the n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ology of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types of social welfare policies.
First, this study positively interprets the n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ology of distributive justice and social welfare policies, and categorizes the types of social welfare policies into four categories by two-dimensionally arranging four symmetric factors of desire, performance, individual, and group. Here, the four factors of desire, performance, individual, and group are normative standards of value which constitute the ideology of distributive justice. With this as the standard, four social welfare policy models (compensatory and corrective, productive, free market-type, and democratic social welfare policies) are placed in the value areas categorized, analyzed, and used for drawing a theoretical implication.
This attempt has a metatheoretical personality for connecting policy studies to normative value areas, and, more fundamentall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as a convergence study of cultur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 in that it analyzes the types of social welfare policies in a way of social science based on the normative scale of distributive justice.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forming a more productive and reasonable welfare discussion and debate culture in the Korean society by systematizing the normative and value theoretical basis of studies on social welfare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분배정의와 사회복지정책의 규범적 관계
Ⅲ. 분배정의실천을위한사회복지정책의구상모델
Ⅳ. 이론적 함의와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변혁적 리더십과 공유 리더십이 개인의 다양성 태도와 맥락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팀의 비차별적 대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Mechanical Mean Reversion of Leverage Ratios: Analysis of South Korean Firms
- 한국기업의 윤리경영에 관한 연구 - 독일기업의 윤리경영 모델도입을 중심으로
- 분배정의와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의 합리적 복지담론을 위한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융합연구로서의 한 시도
- 스마트 기부 컨텐츠의 편익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Luxuriousness of Prestige Brands and Effects of Marketing Mix
- 체험형 및 성취형 문화향유경험이 문화향유의향에 미치는 영향
- 민족정체성 유지행동이 심리적 웰빙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얀마와 베트남 노동자를 대상으로
- 한국 편의점 도시락 소비자의 가치구조: 수단-목적 이론의 적용
- 옵션 가격결정모형을 활용한 적정 방위비 분담금 추정: 2011년, 2012년 방위비 분담금 지출액을 중심으로
- 중국 주식시장에서 역행투자전략의 성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 시대의 기술 표준화와 인권: 중국 New IP와 EU AI 표준화 사례를 중심으로
- KC 인증 면제 이후 금속 장신구 안전관리제도의 공백과 정책 개선 방안
- ESD 정책 체계화를 위한 인증제도 비교와 표준 기반 혁신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