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거리 저상 좌석버스 표준모델을 위한 교통약자의 이용 서비스 니즈 분석
이용수 86
- 영문명
- Analysis of Service Needs What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Want for Inventing the Standard Model of Mid-Distance Low-Floor Seat Bus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도유미(Yu Mi Do) 홍현근(HyunKeun Hong) 박종현(Jong Hyun Park) 전광민(Gwang Min Jeo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8권 제2호, 19~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국 17개 시·도 거주 교통약자(휠체어 이용 지체장애인, 휠체어 외 보조기기 이용지체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65세 이상 고령자, 임산부, 국내거주 외국인)를 대상으로 저상좌석버스 이용 서비스에 대한 니즈를 조사함으로써 교통약자의 중거리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하여자동차 전용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저상 좌석버스 표준모델 개발 및 보급·확산하기 위한 운영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조사는 크게 개인관련 사항, 이동 및 활동상황, 저상버스 이용 현황, 저상버스 서비스 이용 욕구 등 4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를바탕으로 향후 중거리 저상 좌석버스의 표준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과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위해서는 첫째, 중거리 저상좌석버스 서비스는 반드시 필요하고, 둘째, 운전기사의체계적인 교육이 시급하며, 셋째, 교통약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저상 좌석버스의 내·외부 환경 구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argets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ing wheelchairs,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ing assistive devices other than wheelchairs, the visually impaired, the hearing impaired, the seniors over 65 years of age, pregnant women, and foreigners living in Korea) residing in 17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We investigated the needs for services using low-floor seat buses. Therefore,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 to mid-distance transportation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to successfully develop operation technology to develop and disseminate a standard model of a low-floor seat bus that can run on automobile-only roads. The survey was largely composed of four areas: individual-related matters, movement and activity situations, low-floor bus use status, and desire to use low-floor bus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drawn for developing a standard model for mid-distance low-floor seat buses in the future to ensure mobility rights and active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First, mid-distance low-floor seat bus service is absolutely necessary. Second, systematic training of drivers is urgently needed. Third,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awarenes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Finally, there is a need for continued interest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structure of low-floor seat bu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