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문해교사의 중학과정 문해교육 교원연수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121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Literacy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Adult Literacy Education Teacher Training for Academic Accreditation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양(Kyoungyang Lee)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제30권 제3호, 68~93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예비문해교사의 중학학력인정과정 문해교육 교원연수 참여 경험을 통해 문해교원 양성과정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해교원연수의 성공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 중학문해교원 4명을 대상으로 중학과정 문해교육 교원연수에 참여한 경험과 인식에 대해 질적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질적 연구 자료는 MAXQDA 20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예비문해교사는 중학학력인정 문해연수과정에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참여하며 문해교육 현장 이야기 및 문해교사의 경험담을 ‘궁금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문해교사는 중학학력인정 문해교원 연수과정을 ‘엉성해’라고 인식하며 질 높은 문해교원 양성을 위해 문해교원 연수의 체계화, 충분한 실습 시간, 수업시연의 기회가 확보되길 희망하였다. 셋째, 예비문해교사는 문해교원 연수과정을 이수한 후, 중학과정 문해교육 현장 및 교사 처우에 대해 ‘애매해’라고 인식하며, 추후 문해교원 연수과정에 추가되었으면 하는 연수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학력인정과정 문해교육 교원연수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개선사항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adult literacy teacher train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dult literacy education teacher training for academic accreditation, and to find ways to successfully operate literacy teacher training. To this end,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four pre-service teacher participants who took part in the literacy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at the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The collected qualitativ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MAXQDA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literacy teachers participate in the literacy training program with various motives, and are “curious” about the actual field stories of literacy education and the experiences of literacy teachers. Second,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literacy teachers recognized the literacy education training program as “non-systemetic” and wanted to have an opportunity to do microteaching. Third, after completing the literacy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treatment of literacy education teachers and field of literacy education as “ambiguous” and suggested literacy training contents to be added to the literacy teacher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rovements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teracy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계를 건넌 여성들의 고등교육 경험과 ‘대학’의 의미 탐색 - 남북한 고등교육에 참여한 탈북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학습자의 무형식학습 참여 결정요인 분석: 랜덤 포레스트와 SHAP 적용
- 한 교사교육자의 교육청 협약 기반 교육대학원 전공 설치 및 운영에서의 성장 경험
- 대학의 지원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인식: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 평생교육시설의 공간적 현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공주시를 사례로
- 오심 체험으로 촉발된 실패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 포스트-평생학습과 학습의 존재론적 전환
- 예비문해교사의 중학과정 문해교육 교원연수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평생학습도시 정책 사업 성과평가를 둘러싼 의미쟁투의 지형과 특징: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관점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