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義理禪’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본 草衣 禪思想의 특징
이용수 5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Choeui’s Seon thought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Semantic Seon”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 저자명
- 이진훈(Jin Hoon Lee)
- 간행물 정보
- 『동양학연구』제19집, 5~3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선 후기 禪理論諍은 白坡亙璇이 『禪文手鏡』을 통해 ‘조사선·여래선·의리선’이란 삼종선을 제시하자, 이에 대해 草衣意恂이 『禪門四辨漫語』를 통하여 조목조목 비판하면서 촉발되었다. 초의는 祖師가 전한 禪이 祖師禪이고 如來가 전한 禪이 如來禪이라 말하면서, 여래선의 성격이 바로 의리선이라 말하고 있다. 초의는 ‘여래선이 곧 의리선이다’라고 주장하면서, 백파가 구분한 조사선과 여래선, 格外禪과 義理禪의 분류를 해체시켜버린 것이다.
백파와 초의의 선리논쟁에 있어서 핵심적인 견해 차이는 ‘의리선’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義理’를 전달하는 수단이 언어임을 생각할 때 초의의 선사상은 언어와 교학에 대한 긍정이며, 언어관에 차이가 백파와 초의의 선사상을 갈라놓았다고 할 수 있다.
臨濟는 분명 “三句에서 알아차리면 제 자신도 구제하지 못한다.”라고 말했고, ‘불립문자·교외별전’을 표방하는 선사상에 입각해 보면 초의가 ‘의리선’을 통해 주장하고 있는 선사상은 華嚴家의 입장에 떨어져버렸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문제는 초의가 ‘여래선·의리선’을 통해 드러나는 선사상은 어떠한 사상적 배경 속에서 출현한 것이며, 이러한 초의의 선사상이 지니는 함의와 의의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초의의 이러한 선사상 속에는 추사와 다산 등 당시 고증학과 실학자들의 영향이 있으며, 임제종의 법맥과 임제 선풍을 추종하는 당시 불교계의 승려들에 대한 비판의식이 내재되어 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e Seon theory Argumen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sparked by the detailed criticism of Choeui euisun through the 『Seonmunsabyeonmaneo』 when Baekpa Geungseon presented three kinds of Seon of ‘Patriarch Seon, Tathagata Seon and Semantic Seon’ through 『Seonmunsugyeong』. Choeui says that the Seon passed down by Patriarch is Patriarch Seon and the Seon passed down by Tathagata is Tathagata Seon, a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athagata Seon is Semantic Seon. Choeui argued that ‘Tathagata Seon is Semantic Seon’, dismantling the classification of Patriarch Seon and Tathagata Seon, Beyond formality Seon and Semantic Seon, which were distinguished by Baekpa.
It can be said that the key difference in the Seon theory Arguments between Baekpa and Choeui is due to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Semantic Seon’. Considering that the means of delivering ‘meaning’ is language, Choeui’s Seon thought is positive for language and Buddhist studies, and it can be said that the difference in language views divided the Seon thought of Baekpa and Choeui.
Imje clearly said, “If you notice it in the third phrase, you can't save yourself.” Based on the Seon thought of advocating ‘Not depending on language for enlightenment and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Seon thought, which Choeui claims through ‘Semantic Seon’, has fallen into the position of the Huayan thought. The writer wants to clarify what kind of ideological background Choeui’s Seon thought through ‘Tathagata Seon and Semantic Seon’ appeared in and explain th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his Seon thought. In this paper, it was revealed that in Choeui’s Seon thought, there was an influence of historical research and Silhak scholars at the time, such as Chusa and Dasan, and that there was a sense of criticism about Buddhist monks at the time who followed the lineage and the Seon style of Linji school.
목차
Ⅰ. 머리말
Ⅱ. 白坡의 三種禪과 草衣의 二種禪의 분류 기준
Ⅲ. ‘義理禪’을 통한 白坡의 三種禪觀 비판
Ⅳ. 草衣의 ‘義理禪’에 대한 이해와 禪思想의 특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로운 견성
- 풍수지리의 사상적 근원 - 하도낙서, 음양오행을 중심으로
- 形氣風水의 逆水에 대한 연구
- 玄空風水 理論을 적용한 陽宅風水 事例 硏究
- 命理學 年柱 基準에 대한 硏究
- 원불교 참회개념의 연구 - 기독교·불교의 참회사상과 관련하여
- 莊子의 認識論 硏究 - 莊子의 知識 中心으로
- 구성기학의 산출과 활용에 대한 硏究
- 음양오행과 간지의 상관성 연구
- 동양학연구 제19집 목차
- 수상학의 이론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주요 질병 예측을 중심으로
- 태운 김형렬(太雲 金亨烈)의 미륵신앙운동
- 姜沆의 『看羊錄』 연구 - 역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 ‘義理禪’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본 草衣 禪思想의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