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의 사상과 時節 음식문화

이용수  21

영문명
Korean Thoughts about Seasonal Food Culture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저자명
한임자(im ja Han)
간행물 정보
『동양학연구』제10집, 317~34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인의 전통 식생활은 자연에 순응하는 데서부터 출발하였다. 제철에 나는 수확물, 시절에 맞는 음식을 먹는 것이 자연의 섭리에 따르는 중요한 일이라 여겼으며, 한 해 동안 땀 흘려 지은 소중한 결실로 제사를 올리는 천신을 통해 자연의 일부이기도 한 초월적 존재와 우주의 섭리에 순응하는 경건한 종교적 삶을 영위해 왔다. 아울러 동양인들이 만물생성과 우주질서를 인식하는 토대가 되어온 음양오행사상을 식생활에 적극 반영함으로써 광범위한 기복의 민속을 형성해왔으며, 우주자연의 섭리를 따르는 일은 곧 과학적인 식생활에도 부합하는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왔던 것이다. 한국인의 식생활은 매일 매끼니 마다 섭취하는 일상식 위에 크고 작은 다양한 명절 음식과 시절 음식이 더해지면서 단조로운 식생활에 계절적인 리듬과 활력을 더하고 영양적인 균형을 보완하면서 발전되어 왔다. 특히, 농경문화를 기본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사계절의 뚜렷한 변화와 함께 각종 식물들의 성장과 수확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면서 시절마다 돌아오는 세시풍속의 행사로 인하여 휴식과 에너지를 얻는 계기가 되었다. 시절음식에는 우리 조상들이 오랫동안 쌓아온 지혜와 생활의 과학이 담겨 있으며 우리 민족을 하나의 문화권으로 묶어주는 공동체적인 삶이 반영되어 있고 또한 시대를 초월하여 적용되는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시 절식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생활의 주기성과 한국의 풍토에 적합한 건강한 식생활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후손들은 자연에 순응하는 음식문화를 굳건히 자리매김할 의무가 있다고 보인다.

영문 초록

The traditional diet of Korea started from adapting to nature. Eating seasonal food wa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way to follow the provision of nature, and through ancestral rites and offering of the valuable harvest, obtained yearly by the sweat of one’s brow, Koreans have lead a devout religious life adapting to the transcendental being, a part of nature, and the providence of the universe. Additionally, by actively reflecting dietary life on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 foundation of understanding the creation of all things and the order of the universal, Asians developed a custom for wide blessing and considered an ideal to follow the providence of cosmological nature, that is, in accord with the scientific dietary lif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our country on the basis of agricultural culture, the ceremony of seasonal customs became an opportunity to rest and acquire energy due to distinct change of seasons and the growth of various plants that is harvested regularly. Seasonal food contains the wisdom and life science accumulated from our ancestors and reflects the communal life connecting our nation into one culture. Furthermore, it has an universal value that transcends time. Seasonal food informs a healthy diet suitable to the changes of seasonal cycle of life and the culture of Korea. The descendants have an obligation to firmly establish the food culture that adapts to nature.

목차

Ⅰ. 서론
Ⅱ. 자연환경에 순응하는 음식문화
Ⅲ. 음양오행원리에 순응하는 음식문화
Ⅳ. 인시제의(因時制宜)에 따른 음식 섭취 제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임자(im ja Han). (2014).한국인의 사상과 時節 음식문화. 동양학연구, (), 317-343

MLA

한임자(im ja Han). "한국인의 사상과 時節 음식문화." 동양학연구, (2014): 317-3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