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 명리학의 財星論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Theory of Jaesung in The Modern Science of Myngri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 저자명
- 박혜영(Hye 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동양학연구』제10집, 43~6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재물은 인간존재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자본주의가 심화될수록 빈익빈부익부현상은 가중되고 재물의 정치·경제·사회·교육적 불균형 현상은 서민의 생활고를 가중시킨다. 재물을 초월하여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명리학의 육친론중 재성은 사주분석의 중요한 틀로서 재물, 직업, 배우자의 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별이다. 과거의 전통사회에서는 재성보다 관성의 가치를 중요시했는데, 관성은 명예를 대표하고 재성은 재물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서 재성은 재물, 직업, 배우자, 활동무대 등의 향배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재성론의 고전적인 접근을 위해서 고전 명리학서로 대표되는 『淵海子平』, 『適天髓闡微』, 『三命通會』, 『子平眞詮評註』의 재성론에 대한 연구와 현대 명리학의 직업, 재물, 배우자에 관한 이론적·사례적 연구를 참고하여 재성론에 대한 재조명적 시각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대 명리학서로 대표되는 『四柱捷徑』, 『命理要綱』, 『命學新義』의 재성론을 고찰하였다.
논자는 『命學新義』에서 인간생존의 물리적 조건으로 인성과 재성의 균형을 강조한 점에서 문제제기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실마리를 얻었다. 재물은 현대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지만 그것을 초월할 수 있는 힘은 재성과 인성의 조화, 즉 인본주의에 있다고 결론짓게 되었다. 미래사회로 갈수록 전문가집단의 역할이 증대하는 지식사회가 될 것이다. 사람이 희망이라는 인본주의적 가치관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병폐를 해결하는 중요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Property is appearing as an required element of human beings in this modern capitalist society. The bigger capitalism is the deeper the rich-become-richer, poor-become-poorer situation is. Unbalanced circumstances of property o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education intensify ordinary people's financial difficulties. The beginning point of this study is to seek how people live a human life beyond property.
Jaeseong is an important frame among Yookchin Theories to analyze someone's fortune and is also a crucial tool to discover property, occupation and spouse's temper. In the past traditional society Gwanseong was more important than Jaeseong because the former represented honor while Jaeseong represented property. In the present Jaeseong is able to analyze trends of property, occupation and spouse's business field.
In order to make a conventional approach of Jaeseong Theory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a reascertainable perspective for Jaeseong Theory with researches about 『Yeonhaejapyeong』, 『Jeokcheonsucheonmi』, 『Sammyeongtonghoi』, and 『Japyeongjinjeon』 , which represented books of conventional Theory of Fate and Principle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references about occupation, property and spouse on modern Theory of Fate and Principle.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Sajucheopgyeong』, 『Myungriyogang』, and 『Myunghaksineui』 represented books of modern Theory of Fate and Principle.
This study found out a clue to solve issues in an emphasis on the balance of honor and property described as a physical condition for human survival on the book of 『Myunghaksineui』. Property is a required element in the modern society, however a power to exceed it exists in humanism which means the balance of honor and property . The future will be a knowledge society. Therefore, a role of experts will be more important. “Human is a hope”, a humanist value, will become an important solution to cure diseases in modern capitalism.
목차
Ⅰ. 序言
Ⅱ. 財星論의 意味
Ⅲ. 財星論의 古典的 接近
Ⅳ. 財星論의 現代的 適用
Ⅴ. 結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