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相學으로 본 朝鮮의 ‘女人像’ - 蔡龍臣의 <八道美人圖>를 中心으로

이용수  4

영문명
A study analyzed with physiognomy of a female statue in Joseon: focused of painted by Chae Yong-Sin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저자명
박경숙(Kyung suk Park)
간행물 정보
『동양학연구』제10집, 91~12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8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조선의 풍속화중에서도 <미인도>를 미학과 상학을 통해 분석하여 조선시대의 여인상을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여러 <미인도> 중에서도 후대에 속하는 채용신의 <팔도미인도>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조선 팔도 미인의 기준을 살펴보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조선시대는 철저한 성리학적 規準으로 인해 여인들의 활동이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문화현상은 여성에 관련된 모든 학문적 환경에도 영향을 미쳐 여인의 모습을 설명하는데에도 한계를 느끼게 한다. 때문에 조선의 여인상을 조명하는데 가장 수월한 방법은 그들의 형상을 그림으로 표현한 <미인도>가 최선이다. 미인은 아름다운 용모와 매력을 지닌 여인으로 시대와 환경에 따라 미인에 대한 기준이 바뀌어 왔다. 따라서 <미인도>에 나타난 여인상은 그 시대의 가장 완벽한 미인의 기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학이 실제 사람을 직접 보고 판단해야 하는 것이므로 <미인도>를 통해 상학적 가치를 진단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작가의 철학이 담긴 것을 작품이라 할 때, <미인도>라는 작품에는 그것을 그린 작가의 철학이 담겨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작품을 통한 분석으로 최소한의 미학적 분석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와 더불어 상학적 분석 또한 어느 정도는 가능하다. 본고에서 조선시대 여인상의 내면을 실증적으로 입증할 수는 없었으나, 외형에 대한 일반분석 및 상학분석을 시도하여 조선시대 미인의 변천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이를 통해 시대와 환경의 변화가 한 인물의 외형과 사고의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among folk paintings of Joseon Dynasty with aesthetics and physiognomy and observed a female statue in Joseon. A standard for beautiful women of Paldo(Eight Provinces) in Joseon was studied by the target of painted by Chae Yong-Sin, which belonged to later paintings among many s in Joseon. As is generally known, women in Joseon were restricted to their social activities by strict rules of Sung Confucianism. The cultural condition had an impact on every academic circumstances related to women and it is very difficult to describe a woman's feature in Joseon. So, , which expressed her feature as a painting, is the best way to reflect on it. A standard for a beautiful woman has been changed by time and condition. It is considered that shows the best standard for a beautiful woman at that time. As physiognomy means an interpretation by directly seeing a real fac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a physiognomic value through . However,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contains a philosophy of an artist who painted it. So, it is possible to make a minimum aesthetic analysis based on an interpretation of the work. Besides,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physiognomic analysis. This study did not prove women's inside of Joseon, but tried to make a general and physiognomic analysis on appearance to pursue the how they changed over time. This study is expected to demonstrate how the change in time and environment will have an impact on a woman's appearance and thinking.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조선의 미인관
Ⅲ. <팔도미인도>의 미인상
Ⅳ. 상학으로 본 조선 여인상의 특징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숙(Kyung suk Park). (2014).相學으로 본 朝鮮의 ‘女人像’ - 蔡龍臣의 <八道美人圖>를 中心으로. 동양학연구, (), 91-127

MLA

박경숙(Kyung suk Park). "相學으로 본 朝鮮의 ‘女人像’ - 蔡龍臣의 <八道美人圖>를 中心으로." 동양학연구, (2014): 91-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