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이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와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이용수 87
- 영문명
- The Impact of Leader's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Subordinate's Task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al Energy and Moder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 발행기관
- 리더십학회
- 저자명
- 양재중(Jae Jung Yang) 김헌(Heon Kim) 손승연(Seung Yeon Son)
- 간행물 정보
- 『리더십연구』제15권 제3호, 71~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생활수준과 교육의 질이 향상하고 워라밸과 복지가 중요한 가치관으로 자리잡으면서 사람들은 자기가 원하는 것은 당연히 즉각적으로 받아야하며, 나에게는 그럴만한 자격이 있다고 느끼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심리적 특권의식이라 한다. 심리적 특권의식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병리적인 특성이자 대표적인 부정적 특성 중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리더십 연구에 있어 부정적인 리더의 속성은 무엇인지, 또 그러한 리더가 조직과 구성원에게는 어떠한 해로운 결과가 발생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첫째,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과 구성원의 관계적 에너지 간의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과 과업성과 간의 관계에 내재된 메커니즘을 확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으로 인해 감소된 구성원의 관계적 에너지가 그들의 과업성과에까지 부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실증하고자 한다. 셋째,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과 구성원의 관계적 에너지를 조절하는 변수와 심리적 특권의식이관계적 에너지를 통해 간접관계를 다르게 하는 경계조건으로 핵심자기평가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육군 간부 상사-부하 177쌍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과 SPSS Macro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은 구성원의 관계적 에너지에 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간접효과 검증결과,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은 구성원의 관계적 에너지를 경유하여 과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효과 검증결과,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과 구성원의 관계적 에너지의 부(-)의 영향은 구성원의 핵심자기평가가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이 구성원의 관계적 에너지를 경유하여 과업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 또한 구성원의 핵심자기평가가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심리적 특권의식을 가진 리더가 구성원의 관계적 에너지와 과업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영향력을 확인하고,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실증함으로써 관련된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심리적 특권의식의 부정적 효과와 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조직적 차원의함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leader's psychological entitlement, a trait known for its negative characteristics, on the task performance of subordinates. Accordingly, this study has three purposes. First, it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relational energy. Second, it is to identify the underlying mechanis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task performance. Specifically, I assumed that decreased relational energy due to psychological entitlement would negatively influence their task performance. Third, in this relationship, the moder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ubordinate’s core self-evaluation are examined.
The data was collected by forming leader-subordinate pairs, targeting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serving in the Arm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both face-to-face and remote(online) surveys. Based on 177 pairs of data collected over three rounds,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and SPSS Macr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entitlemen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lational energy, whereas relational energ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ask performance. As a result of indirect effect test,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entitlement negatively affects task performance through relational energy. In the case of moderating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relational energy was strengthened as the core self-evaluation was high, and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on task performance through relational energy also strengthened as the core self-evaluation was high.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tension of relevant research by examining the negative impact of leader‘s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the relational energy and task performance of subordinates, empirically demonstr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Additionally,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negative effect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organization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and minimizing these effects. Finally, the study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고령화 사회의 리더십 이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직 내 비보직 고경력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합병 전 피합병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상사신뢰가 직무열의 및 합병 후 변화지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공유리더십이 팀의 성과 및 전투사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팀 동일시의 매개효과,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 육군 부사관을 대상으로
- 육군 영관장교의 전장리더십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소령 계급의 직무보수교육을 중심으로
-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이중매개효과
- 중소기업 안전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연구: 부산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이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와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