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육군 영관장교의 전장리더십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소령 계급의 직무보수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49

영문명
Development of Battlefield Leadership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Army Senior Officers: Focusing the Job-Oriented Training for Majors
발행기관
리더십학회
저자명
박은석(Eunseok Park) 김경언(Kyeongeon Kim)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15권 제3호, 3~3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육군 영관장교의 전장리더십 역량을 바탕으로, 소령 계급의 직무보수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육군 영관장교의 계급별(소령, 중령, 대령) 교육요구분석은 어떠하며, 소령 직무보수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육군의 특성을 고려하여 새롭게 정립한 육군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KA-CBCDM)과 원칙을 적용하였다.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은 5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는, 육군 영관장교의 전장리더십 역량모델을 바탕으로 계급별(소령, 중령, 대령)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2단계는 보리치 요구도조사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의 중복 확인을 통해 역량개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3단계는 영관장교의 필수 교육과정인 소령 직무보수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전장리더십 역량기반교과를 설계하고, 교육과정명세서를 작성하였다. 4단계는 전장리더십 교육을 위한 교수자용 교수학습과정안과 학습자용 학습활동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조사를 통해교육과정의 개발 절차와 산물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내용을 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육군의 군사교육에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육군의 각급 부대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영관장교의 전장리더십 역량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연구자가 정립한 육군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KA-CBCDM)과 원칙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육군의 군사교육을 교과중심에서 역량중심으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육군 군사교육, 정책, 제도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tract the battlefield leadership competencies of army senior officers and to develop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the purpose. The research problem was formulated as follows: to analyze the educational demands for army officers (majors, lieutenant colonels, colonels) in terms of their ranks, and to develop job-oriented training specifically for majors. To achieve this, the Korean Army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KA- CBCDM) and principles were applied,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rmy.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proceeded through five stages. In the first stag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demands for army officers(majors, lieutenant colonels, colonels) based on the battlefield leadership competency model of Army officer instructors. In the second stage, we determined the priority of competency development by conducting a needs assessment using Borich's demand assessment and confirming overlaps with The Locus for Focus Model. In the third stage, we designed a battlefield leadership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developed a curriculum outline to be applicable for the mandatory professional military education of army majors. In the fourth stage, prototypes were developed for the instructor's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battlefield leadership education, as well as a learner's activity guidebook. Finally, expert survey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validity of the products of the education curriculum, refining the content based on their feedback.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develop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can be applied to military education in the Army. This study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initiate the transition of military education in the Army from a curriculum-centered approach to a competency- based approa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석(Eunseok Park),김경언(Kyeongeon Kim). (2024).육군 영관장교의 전장리더십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소령 계급의 직무보수교육을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15 (3), 3-39

MLA

박은석(Eunseok Park),김경언(Kyeongeon Kim). "육군 영관장교의 전장리더십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소령 계급의 직무보수교육을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15.3(2024): 3-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