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유리더십이 팀의 성과 및 전투사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팀 동일시의 매개효과,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 육군 부사관을 대상으로
이용수 8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Team Identification, Job Calling and Team Performance, Team Fighting Morale: Focused ROK Army of Noncommissioned Officer
- 발행기관
- 리더십학회
- 저자명
- 이병필(Byong-Pil Lee) 조윤형(Yoon-Hyung Cho)
- 간행물 정보
- 『리더십연구』제15권 제3호, 41~6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사관들을 대상으로 공유리더십이 팀의 성과(자기평가, 외부평가) 및 전투사기에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이들 변수와의 관계에서 팀 동일시의 매개효과,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도 살펴보았다. 팀 성과는 자기평가와 외부평가로 구분하였다. 연구목적의 규명을 위해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연구가설 검증은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은 육군부사관학교에 입교한 양성과정 후보생과 초급과정 교육생 1,164명, 172개 팀(분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 문제의 해결을 위해 입교후 2주 정도 지난 시점에서 공유리더십, 팀 동일시, 직업소명의식을 측정하였다. 또한 12주 또는25주차 훈련 퇴교시점에서 팀 성과(자기평가, 외부평가), 팀 전투사기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팀 수준 분석으로 개인수준을 팀 수준으로 분석하기 위해 rwg와 ICC(1), ICC(2)를 점검하였다. 실증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공유리더십은 팀 성과(자기평가) 및 팀 전투사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팀 성과(외부평가)에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공유리더십은 팀 동일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팀 동일시는 공유리더십과팀 성과(자기평가, 외부평가) 및 팀 전투사기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소명의식은 공유리더십과 팀 동일시와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과 팀 성과(자기평가, 외부평가) 및 팀 전투사기와의 관계에서 직업소명의식으로 조절된 팀동일시의 매개효과인 조건부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직업군인인 부사관들에 공유5)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공유리더십이 팀의 성과 뿐만 아니라 전투사기의 주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팀 동일시가 매개한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자신과 팀을 동일시 해야만 공유리더십이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한편 부사관들에게도 직업군인으로서 자신의 직업에 대하여 소명의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f purpose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self-evaluation, external evaluation) and team combat morale among noncommissioned officer.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identifi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variables. Team performance was divided into self-evaluation and external evaluation. The research hypotheses of direct effect, mediate effect, moderate effect, and moderated mediate effect were set to clarify the research purpose, and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1,164 cadets and entry-level trainees, 172 teams(squads), who were enrolled in the noncommissioned officer academy, and measured shared leadership, team identification, and job calling at the time of enrollment. Measured team performance (self-evaluation, external evaluation) and team combat morale at the time of exit because of to solve the common method bias. This study was analyzed at the team level, and the rwg, ICC(1), and ICC(2) were checked to analyze the aggregation of individual to the team lev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hared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self-evaluation) and team combat morale, but not on team performance(external evaluation). Second, shared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identification. Third, team identific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self-evaluation, external evaluation), team combat morale. Fourth, job calling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identification. Finally, there was a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hich is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identification are moderated by job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self-evaluation, external evaluation) and team combat morale. This research of implication is that it confirms that shared leadership is a necessary leadership style for professional soldiers and shows that shared leadership are critical antecedent of team performance as well as team combat morale. Also we shows that team identific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suggesting that shared leadership can only lead to positive outcomes if one identifies with the team. Final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having a job calling to one's job as a professional soldi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고령화 사회의 리더십 이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직 내 비보직 고경력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합병 전 피합병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상사신뢰가 직무열의 및 합병 후 변화지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공유리더십이 팀의 성과 및 전투사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팀 동일시의 매개효과,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 육군 부사관을 대상으로
- 육군 영관장교의 전장리더십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소령 계급의 직무보수교육을 중심으로
-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이중매개효과
- 중소기업 안전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연구: 부산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 리더의 심리적 특권의식이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와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