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leurotus nebrodensis extract : application in a functional tea
이용수 16
- 영문명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이희경(Hee-kyung Lee) 유관종(Kwan-jong Yu)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65집, 165~1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대용차의 소재 개발하기 위하여 P. nebrodensis 균사체의 열수,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핵산 추출물을 이용하여 산화질소, prostaglandin E2, 및 hyaluronidase 억제 활성을 갖는 항염증 효과와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추출물용매에 관계없이 추출물 90 μg/mL 농도 내에서 RAW264.7 cell에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LPS로 자극한 RAW 264.7 cell에서 산화질소생성 억제 활성은 열수 추출물 90 μg/mL를 사용 할 경우 43.6%로 가장 높았다. Prostaglandin E2 억제 활성은 열수 추출물 90 μg/mL을 사용할 경우 32.9%로 가장 높았다. Hyaluronidase 억제 활성은 90μg/mL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53.5%로 가장 높았다. 반면 항산화 활성의 경우는 에탄올 추출물 90μg/mL에서 최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69.6%)과 최대 ABS 라디칼 소거 활성(71.3%)이 각각 나타났다. 추출물에 대한 기호도은 열수 추출물과 녹차을 혼합하였을때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여 우수한 추출물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P. nebrodensis 균사체의 열수 추출물은 항염증 및 항산화제용 기능성 차 음료의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nitric oxide production, hyaluronidase, and prostaglandin E2 (PGE2) inhibitory activities for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DPPH and AB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or antioxidant effect using Pleurotus nebrodensis mycelium extract for a functional tea development. The cell viability was confirmed that all extracts were not cytotoxic to RAW264.7 cell within a concentration of 90 μg/mL irrespective of solvent extracts. The nitric oxide inhibitory activity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was the highest at 43.6% using 90 μg/mL of hot water extract. The PGE2 inhibitory level was the highest 32.9% of 90 μg/mL of hot water extract. The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as the highest 53.5% using 90 μg/mL of hot water extrac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tioxidant activity, the maximum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90μg/mL of ethanol extract obtained 69.6%. The maximum AB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90μg/mL of ethanol extract obtained 71.3%. When hot water extract was mixed in green tea, they was considered an excellent extract because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a relatively high valu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the functional material development of the tea beverage fo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gents using the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P. nebrodensis mycelium.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Ⅲ. RESULTS AND DISCUSSION
Ⅳ.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시대의 차문화와 차산업 연구 - 티 브랜드를 중심으로
- Antioxidant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tea (Camellia sinensis) flower
- 오성다도(五性茶道)의 수양론과 서양철학의 비교 연구
- 진주지역 다실(茶室)과 차인회 고찰 -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leurotus nebrodensis extract : application in a functional tea
- 『大觀茶論』 ‘序’에 나타난 徽宗의 茶文化觀
- 忠談師 記事를 통해 본 경덕왕대 茶 문화
- 녹차 가공 과자류의 제품명 연구
- 조선시대 사헌부 제좌청 다례의 콘텐츠 제재(題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