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주지역 다실(茶室)과 차인회 고찰 -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113

영문명
A Study on Tea Rooms and Tea Societies in the Jinju Region : Focusing on Cultural Capital Theory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류명희(Myung-hee Ryu) 박미영(Mi-young Park)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65집, 109~13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남 진주의 다실과 차인회를 중심으로 차(茶)문화의 다차원적 가치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통 차문화가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재조명되고 발전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다실과 차인회가 갖는 문화적 자본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또한, 팬데믹 이후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다실은 단순히 음료 판매의 공간을 넘어 사회적 문화적 공간의 기능을 하는 문화교류의 성격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진주의 차문화가 지역의 경제에 기인하는 관광 상품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문화적 확장의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즉, 다실과 차인회는 지역의 사회적 자본을 강화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문화자본 이론을 근거로 한 지역의 문화에 대한 고찰은 다양한 시각으로 지역 문화를 이해함에 있어 학술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faceted value of tea culture in Jinju, Gyeongsangnam-do, with a focus on its revitaliz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By applying cultural capital theory, this research illustrates that tea rooms and tea societies not only serve as custodians of tradition but also play a pivotal role in reinforcing cultural heritage, social cohesion, and communal identity within local contexts. Furthermore, the study underscores the growing significance of tea rooms as wellness spaces in the post-pandemic era, suggesting that traditional tea culture holds considerable potential as a cultural and economic asset in modern society. The findings highlight the strategic potential of integrating tea culture into regional tourism initiatives, thereby contributing to local economic revitalization and the sustainability of cultural practices, while providing new perspectives on the contemporary applicat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문화자본론 관점에서 본 다실의 역할
Ⅲ. 진주의 다실 및 차인회 현황 및 특성
Ⅳ. 진주의 다실 및 차인회의 문화자본적 가치와 의미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명희(Myung-hee Ryu),박미영(Mi-young Park). (2024).진주지역 다실(茶室)과 차인회 고찰 -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차문화산업학, (), 109-134

MLA

류명희(Myung-hee Ryu),박미영(Mi-young Park). "진주지역 다실(茶室)과 차인회 고찰 -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차문화산업학, (2024): 109-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