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시대의 차문화와 차산업 연구 - 티 브랜드를 중심으로
이용수 1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 Culture and Industry of Queen Elizabeth II of England - Focused on tea brands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김길령(Gil-ryeong Kim)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65집,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국의 차문화와 차산업을 파악하고 영국 왕실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생애와 행적을 탐색하였다. 또한 영국의 차산업 발전을 견인한 차 제조회사의 창립연대, 창립자,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차산업과 차문화를 복합한 한국의 차문화를 확산·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 의해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일상에서 차를 좋아하여 선대 여왕들의 차문화를 계승하였으며 차산업 발전을 위해 차 제조회사와의 마케팅에도 참여하는 적극적인 행보를 하였다.
영국 역사와 함께 한 대표적인 차 제조회사의 티브랜드인 트와이닝(TWININGS), 포트넘 앤 메이슨(FORTNUM & MASON), 헤로즈(Harrods), 테일러 오브 헤로게이트(TAYLORS OF HARROGATE), 위타드 오브 첼시(Whittard of Chelsea)가 있다. 또한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시대에 신생 티브랜드인 아마드티(AHMAD TEA), 푸카(PUKKA), 티 팰리스(TEA PALACE), 이스트 인디아(EAST INDIA COMPANY), 제니어 월드 오브 티즈(Jenier World of Teas) 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한국의 차문화를 확산·발전시키려면 영국 차문화의 역사와 문화적 소양등의 지식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홍차 문화와의 연계성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차와 예술분야가 접목된 복합문화의 가치를 창출하여 차문화, 차산업, 차예술의 발전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tea culture with its industry in the UK and explored the life and activities of Queen Elizabeth II of the British royal family. In addition, the tea manufacturing company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tea industry in the UK were examined by its history and features from the foundation.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spreading and developing a tea culture in Korea that combines the tea industry and tea culture is suggested in conclusion.
Queen Elizabeth II liked tea in her daily life and inherited the tea culture of her predecessor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marketing with tea manufacture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 industry.
There are leading tea makers with British history including TWINGS, FORTNUM & MASON, Harrods, Taylor of Herogate, and Whittard of Chelsea. In addition, AHMAD TEA, PUKKA, TEA PALACE, East India Company, and JENIER TEAS are introduced as the brand new tea makers born in the reign of Queen Elizabeth II.
As a result, in order to spread and develop Korean tea culture, it is necessary to seek connection between Korean tea culture and British one through the research on their history and cultural literacy. Furthermore, it is needed to promote the new era of tea culture by creating more developed value that combines tea with its industry and art.
목차
Ⅰ. 서 론
Ⅱ.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생애 및 행적
Ⅲ.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시대 차문화·차산업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시대의 차문화와 차산업 연구 - 티 브랜드를 중심으로
- Antioxidant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tea (Camellia sinensis) flower
- 오성다도(五性茶道)의 수양론과 서양철학의 비교 연구
- 진주지역 다실(茶室)과 차인회 고찰 -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leurotus nebrodensis extract : application in a functional tea
- 『大觀茶論』 ‘序’에 나타난 徽宗의 茶文化觀
- 忠談師 記事를 통해 본 경덕왕대 茶 문화
- 녹차 가공 과자류의 제품명 연구
- 조선시대 사헌부 제좌청 다례의 콘텐츠 제재(題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