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spect of Sino-Korean Novel Shown in 「Gaessiyeonggwangruboheomun」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엄태식(Tae-sik Eom)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100호, 261~2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개씨영광루보허문」은 8,560자가량의 중편 한문소설로 작자 및 창작 연도는 미상이며, 필사 연도는 1857년 또는 1917년으로 추정된다. 「개씨영광루보허문」은 무신군(武信君)이 영광루(靈光樓)라는 신기루(蜃氣樓)를 만들자 왕발(王勃)이 수부(水府)로 초청을 받아 상량문(上樑文) 등을 짓는다는 내용의 소설이다. 이 작품은 소설로서의 서사성이 매우 미약하며 등장인물 간의 갈등도 거의 없다. 작자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문재(文才)를 드러내고자 했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 점에서 「개씨영광루보허문」은 희작(戲作)으로 볼 수 있다.
「개씨영광루보허문」은 조선 중기 이후 창작된 신루기(蜃樓記) 및 용궁(龍宮) 소재 전기소설(傳奇小說)의 영향으로 탄생한 소설인데,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작품은 『전등신화(剪燈新話)』의 「수궁경회록(水宮慶會錄)」이다. 신루기와 「수궁경회록」은 가공(架空)의 건물을 대상으로 글을 짓는다는 점, 용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등의 공통점이 있는바, 이것이 「개씨영광루보허문」 창작의 동인이 되었다고 본다.
영문 초록
「Gaessiyeonggwangruboheomun」 is an 8,560-character Sino-Korean novella whose author and year of composition year are unknown, though it is believed to have been written down in either 1857 or 1917. In the story, as Musin-gun creates a mirage named Yeonggwangru, Wangbal gets invited to the palace of sea king and writes a ridge beam prayer. The narrative of this novella is very weak, with almost no conflict among the characters. The author seemingly intended to showcase their literary talent through 「Gaessiyeonggwang- ruboheomun」 which was written as a casual and playful work.
「Gaessiyeonggwangruboheomun」 was influenced by Sillugi written after the mid-Joseon era, and Jeon-gi novels about the palace of sea king. 「Sugunggyeong- hwerok」 of 『Jeondeungsinhwa』, which had the most direct influence. Both Sillu-gi and 「Sungunggeonghwerok」 feature a fictional building as a significant element and use palace of sea king as a setting,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Gaessiyeonggwangruboheomun」.
목차
1. 머리말
2. 「개씨영광루보허문」의 서지적 검토
3. 「개씨영광루보허문」의 작품 세계
4. 「개씨영광루보허문」의 창작 배경과 소설사적 의미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강점기 이승규(李昇圭)의 시화집(詩話集)에 나타난 용사(用事)에 대한 견해 고찰
- 한봉(漢峰) 장성규(張性奎)의 학문 성향과 심성가전
- 「개씨영광루보허문(介氏靈光樓步虛文)」을 통해 본 한국한문소설의 한 단면
- 조선시대 한시에 관한 논란 및 변증
- 퇴석(退石) 김인겸(金仁謙)의 계미통신사행기(癸未通信使行期) 시문과 내용 고찰 - 한문학 작품의 현황과 분석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 한문학에 나타난 아속(雅俗) 논의의 의미
- 조선의 표절과 위작에 대한 논란
- 한문학연구의 신 기축 정립을 위한 제언
- 간찰서식집 『간식(簡式)』 연구 - 간행 배경과 체재를 중심으로
- 실학(實學)과 실학파(實學派) 문학의 쟁점과 방향
- 조선시대 필화(筆禍) 사건의 유형 연구
- 이유원(李裕元)의 해좌명승(海左名勝) 연구
- 제정(霽亭) 이달충(李達衷) 시의 특질과 문학사적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