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 자기-자비의 효과성과 치료 기제: 체계적 문헌 고찰

이용수  277

영문명
Effectiveness and Treatment Mechanism of Self-compassion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Kore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발행기관
한국REBT인지행동치료학회
저자명
변경희(Kyung-Hee Byun) 박경애(Kyung-Ae Park)
간행물 정보
『한국REBT인지행동치료』제4권 제2호, 8~31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 자기-자비의 효과성과 치료 기제와 관련한 연구를 선행연구의 문헌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2008년 부터 2023년끼지의 선행연구에서 우울증과 자기-자비와 관련한 키워드와 내용을 추출하였다. 선정된 24편의 문헌에서 국내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 자기-자바에 관한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효과성 그리고 치료 기제에 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구의 시기별 분포에서 2008년 이후 꾸준히 진행되어오던 연구가 2020년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연구 대상은 주로 대학생, 성인 초기, 직장인, 중년여성 등 성인기의 연구에 집중되었고, 아동기와 중년 남성의 연구가 없거나 미미하였다.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질적연구와 혼합연구, 문헌 연구는 매우 적은 분포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효과성과 치료 기제의 결과에서는 우울 개선, 자기-자비증가, 긍정적인 삶의 변화가 있었고 일부 연구에서 치료의 방해 요소를 확인하였다. 끝으로 제언과 후속 연구에 관한 내용으로는 연구 대상에서 볼 수 없었던 다동가의 우울증 치료에 관하여 매체를 적용한 자기-자비 연구의 필요성과 양적연구에 비해 현저히 적은 질적연구에 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치료의 방해 요소인 자기-자기 불안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알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treatment mechanisms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Korea through the literature of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method extracted keywords and contents related to depression and self-compassion from previous studies from 2008 to 2023. In the selected 24 docume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ffectiveness, and treatment mechanisms of self-compassion research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Korea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As a result, research that has been steadily conducted since 2008 in the distribution by pe1iod of research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20.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ainly focused on adult studies, and there were no or insignificant studies on childhood, middle-aged men, and the elderly.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ixed, and literature studies were conducted with very little distribution. 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effectiveness and treatment mechanisms, there were improvements in depression, increased self-compassion, and positive life changes, and some studies identified obstacles to treatment. Finally, in the suggestions and follow-up studies, the necessity of self-compassion studies applying media to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childhoo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on qualitative studies, and the need for additional studies on self-self-anxiety, a hindrance to treat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경희(Kyung-Hee Byun),박경애(Kyung-Ae Park). (2024).국내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 자기-자비의 효과성과 치료 기제: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REBT인지행동치료, 4 (2), 8-31

MLA

변경희(Kyung-Hee Byun),박경애(Kyung-Ae Park). "국내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 자기-자비의 효과성과 치료 기제: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REBT인지행동치료, 4.2(2024): 8-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