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차별 연구의 관행과 확장성 탐색
이용수 109
- 영문명
- Exploring Research Works in Linguistic Discrimina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신동일(Dongil Shin)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2권 3호, 121~15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Linguistic discrimination, or linguicism, has not been thoroughly explored through socio-political analytical frameworks. This study aims to review existing academic literature on linguistic discrimination and propose new foundations for future research. To understand the conventional research topics and methods in linguistic discrimination studies,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key concepts and terms, including race-driven, language variation-based, and general perspectives. It then introduces an alternative analytic framework, incorporting methodologies from critical discourse studies (CDS). The socio-political phenomenon of linguistic discrimination is further explored through the lens of Michel Foucault’s governmentality, subjectivity, and the neoliberal form of life. Within this perspective, discriminated languages and subjects are viewed as shadows of neoliberal governance, and ‘the care of the self’ is proposed as a potential form of resistance againt linguistic normalization and discrimination. This study also discusses future areas of research, campaigns, and educational initiatives related to critical language awareness and language diversity.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언어차별은 어디서 목격되는가?
3. 언어차별의 무엇이 연구되는가?
4. 호들갑의 언어차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5. 연구문헌의 적용: 법제화와 캠페인, 그리고 비판 교육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양육자 간 상호작용에서 사용되는‘-는데’의 담화 기능
- 종속절의 반(反)사실성 표현들
- 담론의 대상으로서의 ‘조선어’ : 19세기 로마자 표기안의 검토를 바탕으로
- Discursive Representations of Institution-l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n Newspapers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1970~90년대 한국 가요 유튜브 영상의 댓글 언어 분석: 조용필과 혜은이 노래를 중심으로
- 사회언어학 연구를 위한 한국어 미세조정 언어모델
- 언어차별 연구의 관행과 확장성 탐색
- 북한 방언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연구: ‘남북 언어의 이질감 극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