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방언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연구: ‘남북 언어의 이질감 극복’을 중심으로
이용수 97
- 영문명
- A Study on North Korean Dialects and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Overcom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곽은희(Eunhee Kwak)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2권 3호, 153~18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come the heterogeneity of the inter-Korean languag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Korean dialect and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While the language problem has been seen as a challenge for North Korean defectors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this paper shifts to view it as a task for South Korean families, highlighting the need for greater acceptance of Nort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is paper argues that to restore the language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signficant changes are required in the ways in which South Koreans perceive, recognize, and accept North Korean dialects as part of a shared language rather than a political language.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언어 이질감 극복 연구 동향과 새로운 관점
3. 북한 방언사용자와 남한 언어사용자의 언어 상호성
4. 언어 정체성 형성과 북한이탈주민 공동체의 기능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양육자 간 상호작용에서 사용되는‘-는데’의 담화 기능
- 종속절의 반(反)사실성 표현들
- 담론의 대상으로서의 ‘조선어’ : 19세기 로마자 표기안의 검토를 바탕으로
- Discursive Representations of Institution-l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n Newspapers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1970~90년대 한국 가요 유튜브 영상의 댓글 언어 분석: 조용필과 혜은이 노래를 중심으로
- 사회언어학 연구를 위한 한국어 미세조정 언어모델
- 언어차별 연구의 관행과 확장성 탐색
- 북한 방언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연구: ‘남북 언어의 이질감 극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