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70~90년대 한국 가요 유튜브 영상의 댓글 언어 분석: 조용필과 혜은이 노래를 중심으로
이용수 14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mments on K-pop YouTube Video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Focusing on Cho Yong-pil and Hye-euni's songs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이정복(Jeongbok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2권 3호, 1~39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anguage of comments on K-pop YouTube video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comments on compilation videos of songs by Cho Yong-pil and Hye-euni, the most popular of that era, focusing on the topics discussed and the titles used for the two singers. The analysis reveals that netizens frequently post comments in five main thematic categories. In ‘Sharing Memories’ and ‘Celebrating and Encouraging’ categories, netizens engage with one another, sharing their feelings as member of a temporary community. Regarding the use of address terms, netizens are found to treat Cho Yong-pil with more respect and reverance than Hye-euni, while also using they friendlier titles for him. This difference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factors such as the age and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ingers, variations in name composition, career continuity, and levels of popularity. The study suggests that netizens who engage with YouTube music videos are not merely interested in the video content but also express their attitudes toward the featured artists and interact with other viewers.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댓글의 주제
3. 호칭어의 쓰임
4. 호칭어 사용 차이의 배경
5.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양육자 간 상호작용에서 사용되는‘-는데’의 담화 기능
- 종속절의 반(反)사실성 표현들
- 담론의 대상으로서의 ‘조선어’ : 19세기 로마자 표기안의 검토를 바탕으로
- Discursive Representations of Institution-l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n Newspapers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1970~90년대 한국 가요 유튜브 영상의 댓글 언어 분석: 조용필과 혜은이 노래를 중심으로
- 사회언어학 연구를 위한 한국어 미세조정 언어모델
- 언어차별 연구의 관행과 확장성 탐색
- 북한 방언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연구: ‘남북 언어의 이질감 극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