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 인식, 태도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숙(Sun Sook Park) 이상원(Sang 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5권 제1호, 87~1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지역 초등교사들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를 조사하고, 생물다
양성 보전에 대한 영역별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초등교사 양성기관 및 초등교사 연수 교육 등
에 있어 환경교육의 방향 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
여 초등학교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식에 관한 하위 영역 중 생물보전의 중요성에 관
한 지식수준은 높으나 고유종 및 외래종, 귀화식물과 생물이 멸종하는 까닭에 관한 지식수준은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하위 영역 중 생물다양
성의 가치 및 실천에 참여하려는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경력이 많은 초등학교 교사가 교육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교육 경험이 있는 집
단이 없는 집단보다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태도가 높았으며, 경험이 있는 집단 중에서도 환경교
육 관련 연수를 받은 집단에서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에 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지식과 인식, 인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지만, 지식과 태도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론을 종합적으로 볼 때 초등학교에서는 거의 모든 교과를 담임교
사가 가르치기 때문에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현직교사 대상의 연수 과정에서 생물다
양성 교육 강화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관련된 지식수준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
료된다. 그리고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물다양성이 손실되는
다양한 원인과 이를 보전하는 올바른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
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n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teachers chosen
for purposive sampling work for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13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mong the 150 questionnaires collected during the study. Their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was measured through 30 questions
consisted of 9 items for knowledge category, 9 items for awareness category, and 12 items
for attitude category with 4 demographic variabl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each
of the variables that make up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through means, t test, F distribution,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rough
I-STATistics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on importance of conservation
biodiversity but low level of knowledge about endemic species, exotic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 and the reason why they became extinct species. They were most aware of the value
of biodiversity, and they took the best attitude toward participation to action. There was no
differ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between genders. As for the impact of teaching career, the teachers who have
longer career had higher than the others who have shorter career in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regard to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ience, the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had higher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than that of the others who didn`t have. The teachers who had train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ve the best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Second, concerning the correlation of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knowledge and awareness as well
as between their awareness and attitude, but their was no link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실과 교과서 「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단원의 비교분석
-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 인식, 태도 분석
-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정보통신윤리 교육 내용 비교 분석
-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육과정의 개발 절차와 주요 개정내용
- 초등 발명영재의 협력적 지식창출 기제
-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인용 분석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녹색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뇌기능을 통한 기술⋅가정 교과서의 ‘기술과 발명’ 단원 분석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실과교육의 문제점
- 민속의상을 활용한 초등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 성인 대상 농업문해 측정도구 개발
-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에 기초한 기존 학생용 발명 워크북 분석
- 초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변화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