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어교육의 문화교육 - 미국의 National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을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Incorporating Cultur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Case of the National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the U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박준언(Jun-Eo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9권 제2호, 49~7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에 전 세계적으로 외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도 이러한 국제적인 추세에 예외가 아니지만, 문화를 교육과정에 통합하는 시도는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외국어교사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제시한 ‘미국 외국어학습 표준’을 중심으로 문화적 요소가 외국어교육과정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소개하였다. 미국의 외국어교육과정 지침은 우리나라의 한국어교육과정 개발, 특히 문화적 내용이 포함된 교육과정 개발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eaching cultur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aspect in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worldwid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education is no exception to this global trend, but integrating cultural components into KFL curriculum is in its inception stage. This paper introduces the efforts of the United States to promote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Specifically, general outlines of the National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NSFLL) are presented, followed by suggestions on how to develop culture education curriculum. It is hoped that KFL education can get some insightful ideas from NSFLL in developing culture-incorporated KFL curriculum.
목차
1. 서론
2. 문화의 개념
3.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변천과정
4. 국가 외국어학습 표준(NSFLL)의 구성 원리
5. 문화교육 교육과정 개발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와 문화의 연계
- 한국어 학습자의 페이스북(Facebook)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 프랑스의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소고
- 한국어 언어문화교육에서의사회적 상호작용 고찰 - 참여자 인식과 대인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한 ‘자기 문화 스토리텔링’ 활용 한국어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 한국 언어문화교육 연구의 내용학적 지평 - 학제적 접근 가능성의 탐구
- 외국어교육의 문화교육 - 미국의 National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을 중심으로
-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 및 태도 연구 - 중서부 주립대 초급 학습자의 학습 지속 여부를 중심으로
- 한국어 문법 교수에서의 교사 코드 전환 양상 연구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초급 한국어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상관관계 연구 - 교사의 시선 처리 관찰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입력 처리 교수 연구에 관한 통시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