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어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 연구 - 김일성종합대학 출판 <조선어>(2022)를 중심으로
이용수 13
- 영문명
- An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in North Korea Language Textbooks : Focusing on the ‘Joseoneo’ Publications of Kim Il Sung University (2022)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고혜민(Hye-min Go) 유홍빈(Hung-Pin Yu) 김낭예(Nang Y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1권 제1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년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발간한 『조선어』 교재 1권부터 5권을 대상으로 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북한에서 외국어로서 조선어를 가르치고 있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교재는 북한에서 가장 최근에 출판된 교재로 현재 북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학생 대상 조선어교육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 활동의 틀을 참고하여 조선어교재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재에서 학습 활동을 제시하는 방법이 남한의 한국어교재와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듣기와 쓰기 활동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북한에서 가장 최근에 출판된 조선어교재를 대상으로 학습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조선어교육의 일면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Joseoneo” series textbooks Volumes 1 to 5, published by Kim Il Sung University in 2022. These textbooks are the most recently published materials, reflecting the current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North Korea. In this study, the framework of learning activities proposed in previous research was adapted and refined to analyze the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considering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way learning activities are presented in these textbooks compared to South Korean Korean language textbooks, particularly indicating insufficient emphasis on listening and writing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dentifies important a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 by analyzing learning activities in the most recently published Korean language textbooks, “Joseoneo”.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조선어교재의 학습 활동 분석
4. 조선어교재에 제시된 학습 활동의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탈리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연구
- 조선어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 연구 - 김일성종합대학 출판 <조선어>(2022)를 중심으로
-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플립러닝을 접목한 한국문화교육론 수업 사례 연구
-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 분석 및 개발 중심의 수업 사례 연구
- 한국어 번역사에 대한 시점(始點) 연구 - 사회 조직이론의 시점(視點)을 통한 시점(時點)의 논의
- 공손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적 요인의 질적 분석
- Linguistic Environment of Non-Korean Parentswith Children in South Korean Bicultural Famil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